조회 수 1155 추천 수 8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실패를 일시적인 것으로 보라.


실패를 극복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실수를 일시적으로 바라 보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갖기 위해 우선 '실패'와 '일시적인 패배'라는 용어를 구분해보기로 한다. 우리가 '실패'라고 알고 있는 것들이 사실은 '일시적인 패배'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일시적인 패배'는 베일에 가려진 축복에 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시적인 패배를 통하여, 우리들은 각성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노력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40년대 초 두 사람이 8848m의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도전했다. 결과는 실패였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실패에 대해 좌절하지 않고 산을 내려오면서 두 사람 가운데 한 청년이 이렇게 말했다.
“에베레스트, 너는 자라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자랄 것이다! 그리고 반드시 돌아올 것이다.”
이 청년은 10년 후에 다시 에베레스트 산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953년 5월 29일 마침내 등반에 성공했다. 이 사람이 바로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을 정복한 에드먼드 힐러리이다.

위의 사례의 에드먼드 힐러리처럼 실패를 일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 슬픔이 있으면 내일은 기쁨이 있는 법이다. 인생은 다양한 사건들, 행운과 불행의 사건들이 순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운명의 바퀴가 도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없다. 그러나 불행의 국면에 들어섰을 때, 밤이 되면 낮이 따라 오는 것처럼, 분명히 행운이 곧 따르리라는 점을 명심하라. 영원불멸의 영웅 링컨은 시련의 시기가 다가오면 종종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것도 곧 지나갈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 1020 저임금 일자리 전쟁 최유진 2015.03.11 749
242 스티브 잡스 최유진 2011.10.06 748
241 test 2010.09.01 747
240 기사 링크 최유진 2015.02.05 747
239 고래사진 집합 2012.03.01 746
238 5, 6월 개봉작 file 최유진 2011.04.26 745
237 스크랩 (2020년엔 이미 현존 직종 80%가 소멸한다) 최유진 2010.11.08 742
236 대상포진 - 젊은 환자 증가 (weekly chosun) 최유진 2014.12.04 740
235 금주영화2편 1 file 2008.11.14 739
234 독서 토론식 수업 (조선일보) 최유진 2011.07.22 738
233 일본역사 최유진 2013.05.28 737
232 혼돈의 도시 (마이클 코넬리) file 최유진 2014.09.16 736
231 광교산 file 2011.03.05 735
230 소설 2 file 최유진 2012.05.07 735
229 연료관련 file 2012.06.13 735
228 남해안 휴가 여정 정리 1 file 최유진 2015.07.30 733
227 성공하는 방법 최유진 2011.06.17 731
226 자녀를 리더로 만드는 말 교육 10계명 1 최유진 2012.02.03 731
225 용평 리조트 링크 최유진 2010.11.16 729
224 지옥철 9호선 최유진 2015.04.02 728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