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08 추천 수 1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490고구려 [高句麗]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을 무대로 하여 발전한 고대국가로 668년에 멸망하였다.



BC 37년에 주몽(朱蒙)이 이끈 부여족의 한 갈래가 압록강 지류인 동가강(佟佳江:渾江) 유역에 건국하였다고 한다. 고구려는 일찍이 기마민족의 문화를 받아들여 졸본 지방에서 일어나 동방 침입의 요로인 퉁거우[通溝]로 옮긴 뒤 낙랑군과 임둔군(臨屯郡)의 교통로를 단절시키는 등 한족(漢族)과의 투쟁과정에서 강대해졌다.

한사군(漢四郡)이 설치된 이후 현도군(玄菟郡)의 지배권 안에 있었으나 태조왕(太祖王:재위 53∼146) 때부터 강력한 대외발전을 꾀하였다. 태조왕은 현도군을 쳐서 푸순[撫順] 방면으로 축출하였고, 요동군(遼東郡)과 낙랑군(樂浪郡)을 공격하여 청천강 상류까지 진출하였으며, 임둔군의 옛 땅에 자립한 옥저(沃沮)와 동예(東濊)를 복속시켜 동해안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는 왕위의 형제상속제를 확립하여 고대국가체제를 갖춤으로써 고구려의 실질적인 시조가 되었다.

고국천왕(故國川王:재위 179∼197)은 왕위의 부자상속제(父子相續制)를 마련하였고, 5부의 행정구역을 설정하는 등 체제 정비를 단행하여 왕권이 보다 강화되었다. 동천왕(東川王:재위 227∼248) 때는 중국의 위 ·오(吳) ·촉(蜀) 3국의 대립시기였는데, 이때 동천왕은 요동군의 실권자 공손 연(公孫淵)과 통교하고 위나라를 견제하는 등 국제적 안목을 넓혔으나, 242년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다가 관구 검(毌丘儉)의 반격을 받아 환도성(丸都城)까지 함락되었다.

봉상왕(烽上王) 때는 선비족인 전연(前燕)의 모용외(慕容廆)의 침입을 두 차례 받는 등 위기를 겪다가 313년 미천왕(美川王:재위 300∼331) 때는 서안평을 확보하고 낙랑군과 대방군을 정복, 한반도에서 한사군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 고조선의 옛 땅을 회복하였다


-----------------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375~413]  
  

고구려 19대 왕(재위 391∼413). 고국양왕의 태자.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이다. 한국 최초의 연호를 사용했다. 백제를 치고, 동예를 통합, 동부여를 정벌했다.

  
5세기 고구려의 영토 확장 /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한 광개토대왕의 적극적인 영토확장과 뒤이은 장수왕의 남하정책으로 고구려는 대외적 팽창을 거듭하게 되고 5세기 경 동북 아시아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름은 담덕(談德)이며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이다. 그의 완전한 묘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이를 줄여서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으로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보다는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생존시의 칭호는 영락대왕(永樂大王)이었다. 또한 그가 쓴 영락(永樂)이란 연호는 한국에서 사용된 최초의 연호로 알려져 있다.

즉위 초부터 대방(帶方) 탈환전을 개시하여 백제의 북쪽을 진격하여서 석현(石峴) 등 10성을 함락하였고, 396년(광개토왕 6: 백제 아신왕) 친히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를 정벌하여 58성을 차지하였으며, 왕제(王弟)와 대신 10인을 볼모로 삼아 개선하였다.

이리하여 한강 이북과 예성강 이동의 땅을 차지하게 되었다. 400년에는 신라 내물왕의 요청으로 5만의 원군을 보내어 왜구를 격퇴시켰으며, 동예(東濊)를 통합하고(410), 신라와는 하슬라(何瑟羅)를 경계로 삼았다. 또 연(燕)나라의 모용 희(慕容熙)를 반격하여 신성(新城)·남소(南蘇)의 2성 등 700여 리의 땅을 탈취하였고, 405∼406년 후연(後燕)의 모용 희의 침입을 2번 받았으나 요동성(遼東城)과 목저성(木底城)에서 모두 격퇴하였다. 407년 모용 희를 죽이고 자립한 고운(高雲)과는 수교를 맺기도 하였다. 410년에는 동부여(東夫餘)를 정벌하여 64성을 공파함으로써 동부여가 고구려의 판도 안에 들게 되었다. 또한 남하하여 한강선까지 진출하였으며, 서쪽으로 후연을 격파하고 요동지역을 확보함으로써 만주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그의 능은 소재 미상이나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광개토대왕릉비(中國 吉林省集安縣 通溝 소재)에는 왕의 업적이 기록되어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3 열흘동안의 축제... 최유진 2006.06.26 1066
742 완벽이란 것.. file 최유진 2007.03.26 1066
741 삼국지에 대하여.. 최유진 2008.08.13 1066
740 추기경님 녹음 육성 최유진 2009.02.23 1066
739 마지막 강의 중.. 최유진 2009.06.26 1066
738 BLUE SEA 정성하 2010.09.10 1066
737 직장에 남는 자들을 위한 조언 최유진 2005.08.23 1064
736 해리포터와 불의 잔 1 file 최유진 2006.01.23 1064
735 초딩의 일기 (하니 유머 펌) file 최유진 2006.02.09 1064
734 무인도에서.. file 최유진 2006.07.05 1064
733 학교 자율화 3단계 추진계획 (동아일보 등) 최유진 2008.04.16 1064
732 지구 종말 2012 file 최유진 2009.11.25 1064
731 울릉도 숙박지 1 2005.11.10 1063
730 [Die Hard, 4.0] file 최유진 2007.07.26 1063
729 정신일도하사불성 최유진 2005.09.01 1062
728 자기 자신을 격려하라 최유진 2005.09.06 1062
727 뮌헨 -- 가해자의 피해의식 file 최유진 2006.03.08 1062
726 기대되는 개봉작들 file 최유진 2009.04.23 1062
725 평준화 보완론, 이율배반적 논리 (스크랩) 최유진 2010.02.10 1062
724 첫인상에 승부를 걸어라 (커리어센터) 최유진 2006.01.05 1059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