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17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news.nate.com/view/20131105n19842타임교육 '수능시험 당일 영역별 지침' 발표
디지털타임스 원문 기사전송 2013-11-05 14:10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7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5일 타임교육 대입연구소는 수험생들이 참고할 수 있는 `수능시험 당일 영역별 지침'을 발표했다.

최성수 연구소장은 "수능 당일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맑은 정신으로 1교시 국어영역을 볼 수 있는가"라며 "시험 열흘 전부터 아침 6시에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고 아침식사나 당분을 섭취해 두뇌 활동을 활발히 하고 여유있게 시험장에 도착할 것"을 조언했다.

◇수능시험 당일 영역별 지침

△1교시 - 과도하게 긴장하는 것이 시험의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최근의 시험 경향을 보면 1교시 국어 영역은 상당히 쉽게 출제되고 있다. 초반에 몇 문제를 푸는 데 집중하는 과정에서 긴장감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말하기(화법), 쓰기(작문) 부분은 특히 평이하게 출제되고 있으므로 집중력만 유지하면 1교시가 주는 중압감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수능 당일 EBS 교재를 가지고 가는 것은 별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어법과 어휘를 정리한 노트 정도를 지참하고 상황에 따라 그 부분을 훑어볼 수 있다면 그것이 최선의 당일 학습이 될 것이다.

△2교시 - 수학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시간과의 싸움을 잘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생각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9월 모의고사에서 원점수 80점 부근이었던 학생이 만점을 목표로 하는 것은 자신을 기만하는 것이며, 그 잘못된 생각 때문에 오히려 시험을 망칠 수도 있다. 풀기 힘든 문제가 있으면 빨리 포기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야 한다. 자신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다 푸는 것이 진정한 `수능 대박'이다. 어려운 문제에 집착하다가 시간 문제가 생겨 풀 수 있는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것이 최악이라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목표가 만점인지, 1등급인지, 3등급 상위권 대인지 등을 정확히 하고 그에 맞는 방식으로 시험은 운영해야 한다.

△3교시 - 영어 영역 시간이 되면 긴장감이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지나친 긴장의 이완이 문제가 된다. 이 중요한 시험을 보면서도 듣기 때 조는 학생이 종종 발생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점심 식사를 너무 많이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락은 자신이 평소에 좋아하고 잘 먹던-소화 문제가 없는 것을 포함하여- 음식을 적당히 준비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에는 조금이라도 걸어다니는 것이 앉아만 있는 것보다 좋다. 점심시간에 조금이라도 공부를 하기를 원한다면 어휘 목록(EBS 교재의 어휘 중 잘 외워지지 않았던 것 등)을 한 두 장 준비하여 훑어보자.

영어 영역 때 듣기와 읽기를 병행하면서 푸는 학생들이 있다. 독해에 투입할 시간을 더 많이 갖기 위해 이렇게 하는 것인데, 이는 되도록 자제하는 것이 좋다. 특히 답에 대한 확신을 갖는 순간 독해 지문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선택은 대개는 문제가 없지만 대화나 담화의 흐름이 바뀌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끝까지 다 듣고 답을 고르는 것이 안전한 방식이다. 올해는 독해 지문의 숫자도 전년도 대비 10 문항이 줄었고 EBS 연계율도 높으므로 시간이 모자랄 가능성은 전년 대비 많이 줄었으므로 듣기 방송 중에는 듣기에 집중하자.

시험 시간 운영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는데, 23번에서 45번까지 문항 순으로 푸는 경우와 빈 칸 추론 부분을 가장 뒤에 푸는 경우, 그리고 빈 칸 추론 3점 문항을 가장 뒤에 푸는 경우 등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평소에 훈련한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모의고사를 볼 때에는 첫 번째 방식을 취했는데 당일에만 두 번째 방식으로 보는 것은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4교시 - 탐구 영역 때에는 이른 해방감을 느끼는 학생들이 있어서 문제이다. 아직 시험은 끝나지 않았으며 특히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4교시의 중요성이 수학 다음으로 크다. 이제 긴장감은 없을 상황이고 빨리 이 상황을 끝내고 싶다는 생각에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풀거나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끝까지 최선을 다하라는 말은 4교시에 정말로 알맞은 말이다. 시험 종료까지 온 힘을 쏟아야 한다. 한 두 문제는 그렇게 더 풀어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능 종료가 입시의 종료는 아님을 명심하자. 수능 종료 후에는 가채점을 하고 수시 지원 상황을 다시 점검하자. 논술과 면접에 참여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당일은 쉬어야 하겠지만 바로 면접과 논술, 적성평가 등의 대학별 고사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므로 수능 날 밤을 `불타는 밤'으로 만드는 것을 자제하기 바란다.

==============================
http://news.nate.com/view/20131115n02894?mid=n1006
첫 수준별 수능, 중위권 희생양 되나


http://news.nate.com/view/20131114n44872?mid=n1006
서울대 '수능 강화' 파장…특목고생 유리, 문과 우수생들 대거 몰릴 듯


http://news.nate.com/view/20131115n00775?mid=n1006
서울대 의대 교차지원·논술고사 폐지…대학가 파급 주목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3 환절기 면역력 최유진 2014.03.25 682
1342 우수영, 좌수영 (wikipedia) 1 최유진 2015.07.31 683
1341 기억력 향상시키는 6가지 비결 (헬스닷컴) 최유진 2013.09.27 684
1340 집다리골 자연휴양림 2010.04.03 685
1339 등교하는 아이를 위한 기도 최유진 2014.04.24 690
1338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유진 2014.06.27 690
1337 참교육 네가지 최유진 2012.09.12 691
1336 피아노 음악회 & 영화 file 최유진 2013.10.28 692
1335 [2013년 대한민국 가계 현주소] (하) 예고된 재앙, 대책없는 노후 최유진 2013.12.09 692
1334 어항 새식구 file 2015.05.13 692
1333 분노 해결 어떻게 하나 (매일경제) 최유진 2013.08.12 693
1332 영화들 (봄) file 최유진 2014.06.18 693
1331 알러지 비염 최유진 2012.03.16 694
1330 초저금리 1% 시대 최유진 2015.03.13 694
1329 명량 1 file 최유진 2014.08.01 695
1328 쌍무지개 1 file 최유진 2014.08.11 695
1327 우리의 사랑스러웠던 갤로퍼.. 1 file 2012.08.14 696
1326 광화문 테라로사 1 file 최유진 2015.08.14 696
1325 2차 수학교육계획 최유진 2015.03.20 697
1324 배틀쉽 & 프로메테우스 file 최유진 2012.03.28 699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