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60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75739

지난 1월 27일 독일 연방의회는 뜻밖의 손님을 초대했다. 그의 이름은 다닐 그라닌(95). 2차 대전 중 독일의 봉쇄로 100만명이 숨진 레닌그라드 전투의 생존자였다. 의원들 앞에서 그는 당시 독일의 만행을 증언했다.

이날의 모습은 일본과 극명하게 대비됐다. 일본은 왜 독일과 달리 과거를 사과하지 않는 것일까. 루스 베니딕트가 일본의 문화를 해부해 쓴 `국화와 칼`에는 이에 대한 단서가 숨어 있다. 베니딕트에 따르면 서구는 `죄의식의 문화`인 반면에 일본은 `수치심의 문화`다.

죄의식이란 나의 행위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를 줬다는 느낌이다. 타인에게 용서를 구하며 책임을 지고 벌을 받음으로써 죄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진심으로 죄를 뉘우치면 누구나 천당에 갈 수 있다는 그리스도교의 교리와 일맥상통한다.

반면 수치심은 자신이 어떤 기준에 못 미치는 존재라는 느낌이다. 부족한 존재라며 스스로를 비하하는 감정이다. 잘못을 뉘우친다고 수치심이 쉽게 사라지지는 않는다.

독일은 피해자를 의회에 초대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용서와 회개, 책임을 통해 죄의식을 덜어내고자 한다. 그라닌의 연설이 끝났을 때 독일 의원들이 박수를 치며 죄의식도 함께 날려버렸을 것 같다.

그러나 일본은 독일과는 문화가 다르다. 잘못된 역사를 인정하는 순간 깊은 수치심을 느낀다. 문제는 이 수치심을 받아들이는 순간, 일본은 부족한 존재가 되고 만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수치심을 밀어내려고 한다. 일본의 사무라이는 수치스럽게 사느니 자결했다. 일본이 역사의 잘못을 쉽게 인정하지 못하는 이유다.

역사를 대하는 태도에서 수치심과 죄의식 중 어느 쪽이 더 건강한지는 자명하다. 죄의식의 문화가 훨씬 더 건강하다. 과거를 반성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 비하에 빠지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더욱 쉽게 인정할 수 있다.

일본과 독일의 과오는 모든 인간의 본성에 숨어 있는 광기를 보여준다. 누구든 남보다 우위의 힘을 가진 상태에서 집단의 광기에 휩싸이면 유대인 학살과 같은 큰 죄를 저지를 수가 있다. 나치 독일의 101경찰예비대대가 그런 예다. 존경받을 만한 중산층 중년 남성들로 구성됐지만, 자발적ㆍ열정적으로 유대인을 학살했다.

많은 기업들이 사사(社史)를 편찬하지만, 창고에서 먼지만 뒤집어쓴다. 왜일까. 수치심의 문화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잘못으로부터 배운다. 자랑스럽기만 한 역사로부터 배우는 것은 별로 없다. 수치심보다는 죄의식이 바람직하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3 스위스 직업교육 최유진 2014.02.28 531
722 스케이트보드 관련사이트 1 file 2010.08.29 942
721 스케이트보드 동영상 2010.09.19 1120
720 스크랩 1 최유진 2006.08.22 1097
719 스크랩 (2020년엔 이미 현존 직종 80%가 소멸한다) 최유진 2010.11.08 742
718 스타들의 이색 직업 (스크랩) 최유진 2009.08.03 1288
717 스타벅스 히스토리 최유진 2014.03.13 547
716 스타크래프트 file 최유진 2005.08.18 843
715 스트레스 이기는 82가지 방법 (조선일보) 1 최유진 2007.01.24 1024
714 스트레스...우울증, 모차르트 음악이 藥이다 (헬스조선) file 최유진 2006.01.26 982
713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9가지 비결 (조선일보 health chosun) 최유진 2005.12.08 849
712 스티브 잡스 최유진 2011.10.06 748
711 스팀보이 (Steam Boy) file 2005.07.20 1016
710 스포츠 강국 file 최유진 2009.03.30 1028
709 승자의 이미지를 주입하자 최유진 2005.09.23 980
708 시 한편 최유진 2007.08.30 1097
707 시공디스커버리총서 4 최유진 2005.08.30 1172
706 시그마렌즈 as 최유진 2011.08.08 884
705 시네타운 링크 1 2006.01.14 1071
704 식객 (허영만) 2 file 최유진 2006.08.10 1310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