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tp://navercast.naver.com/peoplehistory/koreanhistory/30162010년 10월 2일 토요일.

어제보다 날씨가 흐리다.  그리고 오후부터는 비 소식도 있다.  오늘은 강릉 오죽헌을 구경하고 동해 천곡동굴, 묵호 등대 등을 보기로 했다.

쏠비치 전용 바다로 나가서 30분 정도 동해 바닷 바람을 마셨다.  비가 오면 바다에 못 나올 거 같으니 드라이브 가기 전 먼저 바다 구경해 보기로..  선아부터 시작되었던 감기가 나도 앓고, 그리고 전날부터 남편이 아프기 시작했다.  결국 종일 쏘다니는 와중에 이 날은 남편이 몸이 아파 고생이 많았다.


sol42.jpg
목재 계단 쪽으로 문이 오픈되어 있다.  여기로 내려 오면 된다.


sol43.jpg
몸이 으슬거리고 아픈 남편은 점퍼를 입고 있고 동균인 책 읽고 선아는 조개 줍기 삼매경
각자 다른 분위기의 가족


sol44.jpg


sol45.jpg
셔터스피드를 낮추어 찍어 봤지만 포커스는 빗나간다.


sol46.jpg
바다 오른쪽으로 보면 멀리 등대가 있고 앞으로 철책선과 초소가 있다.


sol47.jpg


sol48.jpg


sol49.jpg


sol50.jpg


sol51.jpg
어젯 밤에 이쪽에 나와 봤었다.  선아가 추워서 금방 들어 왔는데 아이들은 왜 자물쇠를 걸어 놓았는지 궁금해 한다.
(남녀 간) 사랑이란 것을 아직 잘 모르므로..


sol52.jpg
헬로키티도 있고


sol53.jpg
조그만 윗도리 모양들도 있고..  


sol54.jpg
바닷가 모래 등을 씻어내는 '에어건'들과 신발털이 등이 놓여져 있다.


sol55.jpg
스페인풍이라는 것이 이렇게 뒷마당 벤치에서도 엿보인다.  스페인을 가본 사람은 공감할 수 있을 거다.  천재 건축가 '가우디'풍을 비스무리하게 땄다는 걸, 구엘공원의 조경같은...


sol56.jpg


sol57.jpg


sol58.jpg


sol59.jpg


sol60.jpg
Z10으로 찍은 가족 사진


sol61.jpg


sol62.jpg
정원에 놓여 있는 작품 'Shining Toroso'


sol63.jpg


sol64.jpg


sol65.jpg
이스탄샤 동을 사이에 두고 가운데 약간 낮은 높이 건물 동은 조금 더 비싼 'Novel' 동



-----------------------------------------
ozuk.jpg
고등학교 2학년 때인가 친구들과 주문진 놀러 가는 중에 들렀던 기억이 있다.  오죽헌보다는, 짧은 고수머리에 무릎 아래까지 긴 치마를 입고 친구들과 검은 대나무숲 앞에서 사진 찍었던 것이 더 기억난다.
남편은 가 본 적 없다고 하고 아이들에게 5만원과 5천원짜리에 그려진 분들 보러 간다고 했더니 한번도 엄마가 5만원 가지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없는 거 같아 오히려 그걸 더 신기해 한다.

입장료:  어른 3천원 / 어린이 천원
http://www.ojukheon.or.kr/museum/main.jsp


ozuk01.jpg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 선생이 태어난 곳.  너른 장소에 깨끗하게 잘 정비되어 있다.  검은 줄기의 대나무인 '오죽'은 신성한 지역에서 자란다고 하고 '오죽헌'은 이이 선생의 친척분 호라고 한다.


(오죽헌 사이트에서 발췌)

오죽헌은 원래 수재 최응현의 집이었는데, 둘째 사위인 이사온에게 상속되었다가 이사온의 딸 용인 이씨에게 상속되었다.   용인 이씨는 딸을 다섯 두었는데, 재산을 물려줄 때 외손 이이에게는 조상의 제사를 받들라는 조건으로 서울 수진방 기와집 한 채와 전답을 주었고, 권처균에게는 묘소를 보살피라는 조건으로 오죽헌 기와집과 전답을 주었다. 외할머니로부터 집을 물려받은 권처균은 집 주위에 검은 대나무가 무성한 것을 보고 자신의 호를 오죽헌(烏竹軒)이라 했는데, 이것이 후에 집 이름이 되었다.

오죽헌은 조선전기 민가의 별당에 해당하는 건축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 건물로 4칸짜리 대청과 2칸짜리 방과 마루로 구성돼 있다. 대청에는 우물마루를 깔고 천정은 고미반자를 두었으며 삼면은 창호문으로 둘렀다. 주심포와 유사한 이익공계 형식을 보이고 있어, 주심포 집에서 익공식 집으로 넘어가는 변천과정을 보여준다. 조선전기 주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는 구조적 가치 외에도, 이 곳 몽룡실에서 율곡 이이가 태어남으로써 더욱 유서 깊은 곳이 되었다.

1963년 1월 31일 보물 제165호로 지정되었다.  

  

ozuk02.jpg
줄기가 까마귀처럼 검다고 하여 '오죽'


ozuk03.jpg
이이 선생.  주변으로 신사임당의 유명한 '초충도' 그림을 테마로 조성해 놓은 꽃밭이 있슴


ozuk04.jpg


ozuk05.jpg


ozuk06.jpg


ozuk07.jpg


ozuk08.jpg
영정을 모셔 놓은 문성사 앞마당에 오래 된 배롱나무 (백일홍)와 소나무가 있다.


ozuk09.jpg


ozuk10.jpg


ozuk11.jpg
아주 좋고 공감이 가는 훌륭한 명언인데 그런 걸 이제와 깨닫는 나는 감명만 받을 뿐 노력 안하고 공부 안한다.
아이들이 깨달아 줬으면 하는 바램으로 읽어 주지만 역시 무덤덤하다.  억지로 자식 교육에 윽박지르고 강요할 필요 없다.  부모가 하는 대로 고스란히 따라가고 배운다..


ozuk12.jpg
이이 선생을 낳았다는 방 '몽룡실'이라고 호칭


ozuk13.jpg


ozuk14.jpg
사임당은 당호이다.  딸만 있는 집안에서 태어난 신사임당은 젊어서는 화가나 예술가의 능력이 뛰어났지만 사후 백년 정도, 즉 율곡 이이 선생이 유명해져서 후세에 '현모양처' 등의 이미지가 정형화된 거 같다.  즉 여성으로서 개인이 아니라 훌륭한 어머니나 아내로서의 이미지는 남성적인 시각에서 비롯된 거 아닌가 한다.  시집을 와서도 친정에 아들이 없어서 한동안 강릉 친정 등에서 지냈다고 하고 서울에서 정착한 건 38세라고 하며 그 이후 48세를 일기로 길지 않은 생애를 마쳤다.  율곡 이이 선생은 16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방황할 정도였고 그 이후 외조모의 사랑이 큰 영향을 미쳤던 거 같다.


ozuk15.jpg
5만원짜리가 이렇게 생겼구나


ozuk19.jpg
어제각에는 구 5천원권 앞뒤가 좀 큰 크기로 걸려 있다.  사람들 구경해 볼 수 있도록..  뒷면에 오죽헌이 그려져 있었다.


ozuk16.jpg
신사임당은 4남 3녀를 두었는데 셋째 아들이 율곡 이이 선생이다


ozuk17.jpg
강릉 고향에 계신 어머님을 그린 시.  국어 교과서 등에서 배웠었던 기억이 있다.


ozuk18.jpg
남편은 음식점 검색 중


ozuk20.jpg
이제 점심 먹으러 갈 예정.  핸드폰으로 검색해서 '금학칼국수'라는 곳으로~~



?

  1. 안면도 바캉스

    2009년 8월 4일 ~ 5일 (화, 수) 주말 끼어서 휴가 내는 데 실패했던 나로선 1박 2일이 아쉽고 벅차기도 했었는데 다녀 오니 앞뒤로 날씨가 안 좋아서 ...
    Date2009.08.07 By최유진 Views1115
    Read More
  2. Nara Diary 1 (3rd day): 나라 ...

    일본 여행 3일째. 토요일. 나라 다녀 오기. 나라공원 --> 동대사 --> 가스가타이샤 --> 고후쿠지 --> 나라마치 나라는 710년부터 784년까지, 헤이죠오...
    Date2013.06.17 By최유진 Views1113
    Read More
  3. 제주도 여행 2일째: 약천사

    6월 6일 일요일. 정방폭포, 법환포구 다음에 신라호텔 바로 옆에 있는, 서귀포 앞바다를 바라보며 굉장히 큰 조계종 불사가 상당히 '이국적인' 모습으...
    Date2010.06.10 By최유진 Views1111
    Read More
  4. 돗토리 여행 2일: 인풍각 (진푸...

    돗토리시는 원래, 돗토리의 영주였던 이케다 가문의 거성이 있던 규쇼잔 부채의 사북으로서 발전한 도시로, 이 성터에 지어진 양풍건축이 나라의 중요...
    Date2015.01.23 By최유진 Views1110
    Read More
  5. 국립생물자원관

    4월 23일 (토). 인천 서구에 있는 국립생물자원관. 입장료는 무료. 오디오 가이드도 있고 미리 알아 본 후에 선생님 강의나 가족 참여 체험학습 등 프...
    Date2011.04.24 By최유진 Views1107
    Read More
  6. 속초 여행 핸드폰

    2박 3일 속초 가족 여행 미시령 델피노 리조트... 듣던대로 깨끗하고 럭셔리했다. 기타 부대시설은 평범하다. 옥미식당 곰치국... 가격의 압박이 있어...
    Date2014.01.15 By최유진 Views1105
    Read More
  7. 2012 여름 휴가: 부산 해동 용궁사

    셋째 날은 부산으로 이동. 기장 아래 쪽에 있는 해동 용궁사 가 보기로. 난 한번 가 본 적이 있는데 바다를 바라 보고 사찰이 있어서 다른 곳과 비교해...
    Date2012.08.09 By최유진 Views1105
    Read More
  8. 쏠비치 여행 3: 쏠비치 바다 & ...

    http://navercast.naver.com/peoplehistory/koreanhistory/30162010년 10월 2일 토요일. 어제보다 날씨가 흐리다. 그리고 오후부터는 비 소식도 있다. ...
    Date2010.10.08 By최유진 Views1105
    Read More
  9. 2005년 4월 중국산업시찰연수 2: ...

    사진은, 정말이지 후다닥 상하이에서 짐 찾느라 찍어 버리고 만 (?) 상해 공항 사진.. 그야말로 기록 그 자체. 푸동공항은 1999년 완공된 상하이의 신...
    Date2006.04.28 By최유진 Views1104
    Read More
  10. 돗토리 여행 1일: 마츠에성

    호리카와 유람선 탄 후, 마츠에성으로. 성 안 꼭대기 천수각에 올라 마츠에시를 내려다 본다. 성 입구에 이즈모의 영주였던 호리오 요시하루 동상 http...
    Date2015.01.22 By최유진 Views1103
    Read More
  11. 마이산 탑사

    계획했던 대둔산 결국 못 가고, 마이산으로 직행. 10시 쯤 입구에 도착하려고 했는데 가을 산행 시즌에 인파들 몰릴 생각을 못하고 입구도 구경 못하고...
    Date2014.11.17 By최유진 Views1101
    Read More
  12. 용평 리조트 여행 2: 대관령 양...

    6월 27일 일요일 어제는 용평리조트 내 피크 아일랜드에서 물놀이 하고, 아침 먹고 다른 식구들은 서울로 출발, 우리 가족만 대관령 양떼목장 둘러 보...
    Date2010.07.03 By최유진 Views11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