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14 17:06

거가대교

조회 수 10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윗 사진, 해저터널로 들어가는 가덕터널)
부산에서 통영을 가려니 '거가대교'를 건너게 된다.
부산 가덕도와 거제도를 잇는, 그리고 중간에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저터널로 연결이 되는 8.2 키로
어찌 보면 통영 케이블카 보다 이게 더 대단한 거 같다.



120801-32.jpg
부산에서 거제도 가는 중.  내내 해안 풍광을 보면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 싣는 거 같다.


120801-33.jpg
가덕 해저터널.  도로가 터널 아래 쪽으로 기울어 있다.  눈 높이에 해수면이 있다.  @@
터널로 들어가면 다른 터널과 똑같은 모습이지만 왠지 웅~ 울리는 느낌도 나고..  최저 48미터까지.
해저터널이라고 하면, 왠지 수족관 돔 처럼 투명한 천장으로 되어 있지 않을까란 착각하게 된다.  안으로 들어가면 똑같은 터널~
기술과 건설의 발전 참..


120801-34.jpg
2개의 사장교 중 첫번째 2주탑.  중죽도 ~ 저도


120801-35.jpg


120801-36.jpg
3주탑.  저도 ~ 유호리


120801-37.jpg
부산으로 돌아 오는 길에 거가대교 경치를 보려고 거제휴게소 들름. 오른쪽 2주탑 그 옆으로 해저터널이 있다.



거가대교 [ 巨加大橋 ]  2004년 12월 착공한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총 8.2km의 초대형 교량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에서 경남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까지 8.2km 구간(왕복 4차선)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2004년 12월 착공해 2010년 12월 13일 개통됐다. 총 사업비 2조 2,345억 원이 투입된 거가대교는 부산 가덕도∼중죽도∼대죽도를 잇는 3.7km 구간은 침매터널로 건설됐고, 중죽도∼저도∼거제 장목 간 4.5km 구간은 2개의 사장교와 접속교(3.5km), 육상터널(1.0km)로 건설됐다. 국내에서 침매(沈埋) 공법을 이용한 해저 터널교량 공사는 거가대교가 처음이다. 2011년 1월부터 유료로 운영(통행료는 승용차 기준으로 1만 원)됐다.

거가대교가 개통되면서 부산∼거제 간 육상거리가 140km에서 60km로, 통행시간은 2시간 10분에서 50분으로 크게 단축돼, 교통난 해소와 물류비 절감은 물론 남해안 관광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naver)


120801-86.jpg


120801-87.jpg


120801-88.jpg
거가대교 차도가 기울어 있다.  해저터널로 들어가는 부분



?

  1. 2월의 부산: 2일차) 엑스더스카이 전망대, 해운대 광안리 산책, 기타

  2. 산악회 7월 양평 물소리길 탐방: 세미원, 더그림, 양평물소리길

  3. 2월의 부산: 1일차) 흰여울문화마을, 광복동, 초량이바구길 등

  4. 산악회 경주모임 2일차: 경주 남산

  5. 국립민속박물관

  6. 조선왕릉 투어 2023

  7. 산악회 9월: 군산 고군산군도

  8. 산악회 경주 모임 1일차: 경주 오릉, 월성터, 소노벨경주

  9. 산악회 경주 모임 2일차: 불국사, 월정교, 교촌한옥마을

  10. 체험학습 답사과정 (봄)

  11. 5월의 부산: 1일차) 태종대, 감천문화마을, 오륙도스카이파크 (해맞이공원), 이기대, 해운대 야경

  12. 여수 여행 1일 - 향일암, 두문포, 무슬목해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