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8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하삼도 수군[편집]

조선의 수군은 하삼도인 전라, 경상, 충청과 평안도, 경기도 등지에 수영을 설치하였으며, 수영은 오늘 날의 해군 기지와 사령부에 해당한다. 통제영에서 관할하는 하삼도의 수군은 다음과 같다.

 

경상우수영[편집]

경상우수영(통제영)은 처음에 거제에 두었으나 1604년 고성(지금의 통영시)으로 옮겼다. 통제사의 본영(本營)을 ‘통제영’(統制營)이라 하는데, 처음에는 초대 통제사인 이순신 장군의 본영인 여수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이 통제영의 역할을 했고, 임진왜란이 끝난 후 제4대 통제사 이시언이 부임하면서부터 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으로 옮겨졌다. 오늘날의 경상남도 통영시는 통제영에서 비롯된 지명이다.[4] 임란 초기에는 원균이 경상우수사를 맡았으나 1595년 충청병사로 승진한 이후에는 이순신의 부하 장수인 순천 부사 권준이 맡았고, 원균이 통제사로 부임한 이후에는 배설이 임명되었다. 명량해전 직후 전투 직전 도망친 배설의 뒤를 이어 당시 유도방호대장이자 역시 이순신의 부하 장수인 무의공 이순신이 임명되었다. 초기를 제외한 이후의 통제사는 거의 경상우수사가 겸직하게 된다.

 

경상좌수영[편집]

경상좌수영은 경상좌도수군 절도사의 진영으로, 주로 왜구의 침입경로인 낙동강에서 경주지역까지의 수로 방어를 담당하였다. 최초로 설치된 곳은 부산 동래현이었고, 태종 때 울산 개운포로 이전하였다가, 1592년 동래 남촌으로 옮겨갔다. 1635년 인조 13년에는 최초의 장소인 감만이포로 옮겼다가 왜관과 가깝다는 이유로 1652년 효종 3년에 다시 동래 남촌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전라좌수영[편집]

1479년 성종 10년 전라도 수군절도사영이 전라좌수영과 전라우수영으로 분리되면서 내례만호진 자리(현재 여수)에 설치되었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1년 전인 1591년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었다. 5관(순천, 흥양, 광양, 낙안, 보성), 5포(사도, 여도, 녹도, 방답, 발포)를 둔 작은 수군기지였지만 이순신이 연전연승을 하고, 통제사를 겸하게 되면서 통제영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전라우수영[편집]

1377년 고려 우왕 3년에 무안 당곶포에 수군이 처음 설치된 후, 1440년 세종 22년에 해남 황원관으로 옮겼다. 1465년 세조 11년에 수군절도사영으로 승격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이억기가 전라우수사로 재임하였으며 그가 칠천량 해전서 전사한 다음에는 김억추가, 명량해전 직후 거제현령 안위가 승진하여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때 명량해전의 주요 본거지가 되었다.

 

충청수영[편집]

고려말 왜구의 침입이 잦은 지역이었고, 간단한 형태의 방어진만 존재하다가 1447년 세종 29년 대마도 정벌과 함께 수군과 기지를 정비하고, 충청수영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1466년 세조 12년에 충청수군절도사로 승격하였다. 왜구의 침탈로부터 방어하고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현재의 오천항 지역에 해당한다

 

 

?
  • ?
    2015.08.04 09:19
    왕이 지도를 보는 방향으로 우수영, 좌수영이 정해졌다고 했었던 문화해설사 선생의 말..오른쪽에 있으면 우수영, 왼쪽에 있으면 좌수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 롤러코스터.. 1 (Millenium Force) 1 file 최유진 2005.07.06 1713
182 남대문시장 file 최유진 2005.07.06 1545
181 전골판을 샀다. 5 file 2005.07.05 1181
180 마나님 핸드폰 처분 file 2005.07.05 1307
179 강하게 키운다는 게.. 최유진 2005.07.04 1332
178 Star Wars Episode III (Revenge of The Sith) 1 file 최유진 2005.07.01 1126
177 남자가 없는 이유.. file 최유진 2005.06.30 1356
176 비검 오니노츠메 file 2005.06.30 1468
175 사랑스런 가족 사진 잘 보고 갑니다. 1 고광희 2005.06.28 1177
174 123운동 패러디 file 최유진 2005.06.28 1293
173 123운동 file 최유진 2005.06.28 1265
172 품바타령 2005.06.28 1827
171 집에 있는 노트북 X-note 사양 file 2005.06.27 1366
170 레이어케이크 (Layer Cake) 1 file 2005.06.27 1131
169 만만한 밤참... file 2005.06.21 1275
168 핸드폰 수신지역이 열악할때.. 1 file 2005.06.21 1536
167 아이 로봇 (I, Robot) 1 file 최유진 2005.06.21 1181
166 추천 갤러리 사이트 2005.06.21 1296
165 D70 사용기 - Dcinside에서 링크 2005.06.21 1128
164 처신을 잘 하면서 살아간다는게.. 2 2005.06.20 1231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