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8 21:40

문화비축기지

조회 수 11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8. 6. 17 (토)

마포에 있는 '문화비축기지'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마포 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원래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철저히 통제되었던 산업화시대의 유산이었던 석유비축기지였다.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76~78년까지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약 7천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곳으로 2002 월드컵을 앞두고 위험시설로 분류되어 폐쇄되었고 10년 넘도록 활용방안을 못 찾았지만 시민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변신하게 되었다. 기존 자원들을 재활용하여 '재생'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서울의 대표적인 대형 도시재생 랜드마크이다.

높이 15미터, 지름 15 ~ 38미터의 유류탱크 5개 중 4개는 시민을 위한 공연장, 강의실, 전시관 등으로 변신했다. 2017년 9월에 시민에게 개방되었고, 단순한 문화시설을 넘어 석유와 건설로 대표되는 산업화시대에서 친환경과 재생을 아이콘으로 한 미래로의 도약, 그 상징적 공간이 되도록 시민과 함께 만들고 채워나가는 공간이다.

 

sang am.jpg

버스타고 월드컵경기장 앞에서 내려 길 건너면 문화비축기지가 있다.

주변에 하늘공원, 평화의 공원, 난지도 등..

 

 

180617-1.jpg

매봉산 (약 100미터) 자락 아래 40여 년 전 만든 보안시설이었던 석유 비축 탱크가 2002 월드컵을 계기로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제 공모를 거쳐 아이디어를 발탁하여 새로운 문화 공연장 등으로 탈바꿈되었다.

기지 안으로 진입하면 정면에 가장 큰 탱크가 보이지만, 저기는 새로 지은 건물이다. 기존의 탱크에서 폐자재들을 활용하여 만든 커뮤니티센터 (카페, 강의실 등) 건물

 

 

180617-2.jpg

오일 탱크를 renovation하여 만든 건물이 보인다.

 

 

 

 

 

180617-4.jpg

왼쪽 언덕으로 오르면 Tank 1을 지나 뒤쪽으로 Tank 2부터 구경. 철옹성같이 느껴지는 옹벽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었던 보안시설이었고 전쟁에도 무너지지 않을 거 같은 두꺼운 벽 너머에 탱크가 숨겨져 있다.

 

 

180617-5.jpg

옹벽 뒤로 돌아 가면 무대 공연장 등으로 새로 개조했다.

 

180617-6.jpg

탱크 위를 공연장으로 만들고 기존 탱크 건물 아래로 내려가 본다

 

 

180617-7.jpg

180617-8.jpg

180617-9.jpg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단면

 

 

 

180617-3.jpg

다시  Tank 1으로~  저 주제의 전시물이 있다.

 

 

180617-10.jpg

오징어 잡이 배의 집어등을 활용해 만든 작품

 

 

180617-11.jpg

180617-12.jpg

180617-13.jpg

180617-14.jpg

180617-15.jpg

180617-16.jpg

탱크 1, 2만 보면 원래 오일 탱크가 어떤 모양새였는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원형을 보전한 다른 탱크와 개조된 탱크 안으로 보려면 Tank 3, 4, 5 등으로 가면 된다.

 

180617-17.jpg

닉네임 '탱크 6'라고도 하지만, 여긴 오일 탱크가 아닌 비축기지 개조하면서 새로 커뮤니티센터 건물로 만들어진 것.

 

 

180617-18.jpg

180617-19.jpg

세미나실 혹은 강의실

 

 

180617-20.jpg

180617-21.jpg

세미나실의 블라인드를 걷으니 건너편에 보이는 상암 월드컵 경기장

 

 

180617-22.jpg

넓은 면적의 '카페 탱크'

 

 

180617-23.jpg

180617-24.jpg

 

180617-25.jpg

180617-26.jpg

카페 곳곳은 다양하고 변화있게 테이블과 의자 등이 장식되어 있다.

 

 

180617-27.jpg

각각 다른 의자. 벽의 그림, 조명, 화분..  새삼 '공간'이라는 개념이 가질 수 있는 개성이란 게 느껴진다.

 

 

180617-28.jpg

이 자리도 멋짐

 

 

180617-29.jpg

세번째 탱크는 다른 건물로 활용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존해 놓았다. 현재 출입이 가능하지는 않고 '서울미래유산'으로 낙점되어 있다.

오른쪽 사진 게시판의 두번째 사진이 상공에서 본 사진인데 두꺼운 옹벽에 가려진 탱크 모습

 

 

180617-30.jpg

잘 정돈되어 있는, 마치 경건한 마음으로 신전에 오르는 듯한 느낌

 

 

180617-31.jpg

외관은 역시 두꺼운 옹벽으로

 

 

180617-32.jpg

통로를 통해 들어가 보면

 

 

180617-33.jpg

옹벽 뒤로 어마어마한 탱크가~  시간이 멈춰져 있는 듯한..  40여 년 전으로.

 

 

180617-34.jpg

탱크를 바라 보고 왼쪽 아래

 

 

180617-35.jpg

오른쪽 아래. 탱크의 높이는 약 15미터. 저 아래 '레벨게이지'가 멈춰져 있는 시간을 가르키는 것 같다.

 

 

180617-36.jpg

발판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 으~ 무서워..

 

180617-37.jpg

원형 그대로 놔둔 탱크 3 옆에 탱크 4가 있다. 낡은 폐허 옆에 신축 공간을 붙인 모양이 근사하다

 

 

180617-38.jpg

탱크 3는 안의 모양을 볼 수 없었는데, 오히려 여기는 탱크 안을 공연장으로 개조했기 때문에 겉으로 원형을 보면서 한바퀴 돌다가 안으로 들어가 볼 수 있다.  

 

 

180617-39.jpg

레벨 게이지

 

 

180617-40.jpg

180617-41.jpg

180617-42.jpg

곳곳에 출입금지판은 풍자그림처럼

 

 

180617-43.jpg

탱크 안을 이렇게 공연장으로

 

 

180617-44.jpg

180617-45.jpg

180617-46.jpg

180617-47.jpg

다섯번째 탱크는 옹벽을 밖에서 둘러싼 모습이다.  여기는 '이야기관'으로 석유비축기지의 역사를 전시해 놓은 곳

5개 탱크는 순서대로 모두 둘러 봐야 한다.

 

 

180617-48.jpg

180617-49.jpg

180617-50.jpg

70년대 중동 석유파동으로 한달치 석유 비축분 (약 7천만 리터)을 저장해 놓았던 보안시설

 

 

180617-51.jpg

유리창에 비친 스티커

 

 

180617-52.jpg

탱크 단면

 

 

180617-53.jpg

매봉산 자락 아래 다섯개의 탱크가 박혀 있는 모습

 

 

180617-54.jpg

각 탱크들의 규격

 

 

180617-55.jpg

180617-56.jpg

180617-57.jpg

 

180617-58.jpg

석유비축기지는 2000년에 폐쇄되었고, 14년에 국제현상설계 공모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180617-59.jpg

180617-60.jpg

T1 파빌리온, T2 공연장, T3 탱크원형, T4 복합문화공간, T5 이야기관

 

 

180617-61.jpg

상암소셜박스

 

 

180617-62.jpg

180617-63.jpg

비축기지 안마당에 밤도깨비 야시장 준비하는 푸드트럭들

 

 

 

 

?
  • ?
    2018.07.03 08:46
    이게 얼마만의 글이요....웰컴 어게인!!!!!^^

  1. 문경 (가은세트장)

    KBS 사극 드라마 셋트장 석탄박물관 돌고 밖으로 나와서 모노레일카 티켓 사서 타고 올라간다. 겨울이라 훵~하고 추우니 을씨년스럽다. 박물관 윗쪽에,...
    Date2015.01.19 By최유진 Views1180
    Read More
  2. 문경 (석탄박물관)

    2015년 1월 산악회 신년 모임은 문경에서. 1박 후 이튿날 문경새재 3관문까지 걷기 첫날은 가족끼리 문경석탄박물관, 가은셋트장 (KBS 사극 드라마) 구...
    Date2015.01.19 By최유진 Views1004
    Read More
  3. 문경새재

    일요일 이튿날은, 문경새재 1 ~ 3관문 걷기. 하늘은 반짝 개고 기온도 별로 낮지 않았는데, 새재 입구에 도착하니 들판이라 그런지 바람이 불어서 머리...
    Date2015.01.19 By최유진 Views871
    Read More
  4. 문화비축기지

    '18. 6. 17 (토) 마포에 있는 '문화비축기지'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마포 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
    Date2018.06.18 By최유진 Views117
    Read More
  5. 박이추 보헤미안 로스터스

    보헤미안 박이추 커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해안로 1107 (033-642-6688) http://www.bohemian.coffee/default/ 폭우를 뚫고 강릉에 도착했다. 10시 반...
    Date2016.07.24 By최유진 Views279
    Read More
  6. 방송: 프라하의 연인

    http://tv.sbs.co.kr/praha/9월 SBS에서 전도연, 김주혁 주연에 김민준과의 삼각관계가 중부유럽 아름다운 도시, 체코 프라하를 배경으로 펼쳐진다고 ...
    Date2005.08.19 By최유진 Views1527
    Read More
  7. 백두산 사진들 (펌)

    역시, 상하이 야경 사진 찍은 컴실의 B기자님이 담아 온 백두산 사진들.. 난 지금까지 무식하게도 천지가 최고봉인줄만 알았다. 천지에서도 더 올라가...
    Date2006.06.27 By최유진 Views1637
    Read More
  8. No Image

    벗꽃길..

    벗꽃길..동학사 입구가 아닌 그 옆길의 벗꽃들..벗나무들..
    Date2006.04.18 By Views1957
    Read More
  9. 벽초지문화수목원 (파주)

    계절이 초겨울의 문턱에 들어서려고 한다. 얼마 안 남은 늦가을 정취가 아쉬워 나간 경기도 파주, 벽초지문화수목원. CF나 드라마 많이 찍었던 곳이다....
    Date2012.11.12 By최유진 Views1088
    Read More
  10. 보성 녹차밭

    원래 우리 나라의 시배지는 경남 하동이었다 한다. 그러나, 일반인들한테는 보성 녹차밭이 훨씬 더 유명하다. 대한다업의 삼나무길이 전파를 탄 이후, ...
    Date2005.04.20 By최유진 Views1695
    Read More
  11. 봄 여행지

    2월: 전남 강진/해남 (완도 or 진도 드라이브), 전남 순천 선암사/송광사/낙안읍성, 전북 무주 리조트 (때늦은 눈 구경, 호텔 티롤, 설천봉) 3월: 20일...
    Date2005.02.11 By최유진 Views1477
    Read More
  12. 봄 햇살이 그리워질 때..

    1년 전, 작년 4월에 전주 군산 다녀 온 것이 유독 많이 생각난다. 이번 봄은 도무지 날씨도 이렇고 더욱 요원하기만 하다. 모처럼의 봄나들이였고, 전...
    Date2013.04.08 By최유진 Views10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