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8 21:40

문화비축기지

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8. 6. 17 (토)

마포에 있는 '문화비축기지'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마포 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원래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철저히 통제되었던 산업화시대의 유산이었던 석유비축기지였다.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76~78년까지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약 7천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곳으로 2002 월드컵을 앞두고 위험시설로 분류되어 폐쇄되었고 10년 넘도록 활용방안을 못 찾았지만 시민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변신하게 되었다. 기존 자원들을 재활용하여 '재생'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서울의 대표적인 대형 도시재생 랜드마크이다.

높이 15미터, 지름 15 ~ 38미터의 유류탱크 5개 중 4개는 시민을 위한 공연장, 강의실, 전시관 등으로 변신했다. 2017년 9월에 시민에게 개방되었고, 단순한 문화시설을 넘어 석유와 건설로 대표되는 산업화시대에서 친환경과 재생을 아이콘으로 한 미래로의 도약, 그 상징적 공간이 되도록 시민과 함께 만들고 채워나가는 공간이다.

 

sang am.jpg

버스타고 월드컵경기장 앞에서 내려 길 건너면 문화비축기지가 있다.

주변에 하늘공원, 평화의 공원, 난지도 등..

 

 

180617-1.jpg

매봉산 (약 100미터) 자락 아래 40여 년 전 만든 보안시설이었던 석유 비축 탱크가 2002 월드컵을 계기로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제 공모를 거쳐 아이디어를 발탁하여 새로운 문화 공연장 등으로 탈바꿈되었다.

기지 안으로 진입하면 정면에 가장 큰 탱크가 보이지만, 저기는 새로 지은 건물이다. 기존의 탱크에서 폐자재들을 활용하여 만든 커뮤니티센터 (카페, 강의실 등) 건물

 

 

180617-2.jpg

오일 탱크를 renovation하여 만든 건물이 보인다.

 

 

 

 

 

180617-4.jpg

왼쪽 언덕으로 오르면 Tank 1을 지나 뒤쪽으로 Tank 2부터 구경. 철옹성같이 느껴지는 옹벽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었던 보안시설이었고 전쟁에도 무너지지 않을 거 같은 두꺼운 벽 너머에 탱크가 숨겨져 있다.

 

 

180617-5.jpg

옹벽 뒤로 돌아 가면 무대 공연장 등으로 새로 개조했다.

 

180617-6.jpg

탱크 위를 공연장으로 만들고 기존 탱크 건물 아래로 내려가 본다

 

 

180617-7.jpg

180617-8.jpg

180617-9.jpg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단면

 

 

 

180617-3.jpg

다시  Tank 1으로~  저 주제의 전시물이 있다.

 

 

180617-10.jpg

오징어 잡이 배의 집어등을 활용해 만든 작품

 

 

180617-11.jpg

180617-12.jpg

180617-13.jpg

180617-14.jpg

180617-15.jpg

180617-16.jpg

탱크 1, 2만 보면 원래 오일 탱크가 어떤 모양새였는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원형을 보전한 다른 탱크와 개조된 탱크 안으로 보려면 Tank 3, 4, 5 등으로 가면 된다.

 

180617-17.jpg

닉네임 '탱크 6'라고도 하지만, 여긴 오일 탱크가 아닌 비축기지 개조하면서 새로 커뮤니티센터 건물로 만들어진 것.

 

 

180617-18.jpg

180617-19.jpg

세미나실 혹은 강의실

 

 

180617-20.jpg

180617-21.jpg

세미나실의 블라인드를 걷으니 건너편에 보이는 상암 월드컵 경기장

 

 

180617-22.jpg

넓은 면적의 '카페 탱크'

 

 

180617-23.jpg

180617-24.jpg

 

180617-25.jpg

180617-26.jpg

카페 곳곳은 다양하고 변화있게 테이블과 의자 등이 장식되어 있다.

 

 

180617-27.jpg

각각 다른 의자. 벽의 그림, 조명, 화분..  새삼 '공간'이라는 개념이 가질 수 있는 개성이란 게 느껴진다.

 

 

180617-28.jpg

이 자리도 멋짐

 

 

180617-29.jpg

세번째 탱크는 다른 건물로 활용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존해 놓았다. 현재 출입이 가능하지는 않고 '서울미래유산'으로 낙점되어 있다.

오른쪽 사진 게시판의 두번째 사진이 상공에서 본 사진인데 두꺼운 옹벽에 가려진 탱크 모습

 

 

180617-30.jpg

잘 정돈되어 있는, 마치 경건한 마음으로 신전에 오르는 듯한 느낌

 

 

180617-31.jpg

외관은 역시 두꺼운 옹벽으로

 

 

180617-32.jpg

통로를 통해 들어가 보면

 

 

180617-33.jpg

옹벽 뒤로 어마어마한 탱크가~  시간이 멈춰져 있는 듯한..  40여 년 전으로.

 

 

180617-34.jpg

탱크를 바라 보고 왼쪽 아래

 

 

180617-35.jpg

오른쪽 아래. 탱크의 높이는 약 15미터. 저 아래 '레벨게이지'가 멈춰져 있는 시간을 가르키는 것 같다.

 

 

180617-36.jpg

발판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 으~ 무서워..

 

180617-37.jpg

원형 그대로 놔둔 탱크 3 옆에 탱크 4가 있다. 낡은 폐허 옆에 신축 공간을 붙인 모양이 근사하다

 

 

180617-38.jpg

탱크 3는 안의 모양을 볼 수 없었는데, 오히려 여기는 탱크 안을 공연장으로 개조했기 때문에 겉으로 원형을 보면서 한바퀴 돌다가 안으로 들어가 볼 수 있다.  

 

 

180617-39.jpg

레벨 게이지

 

 

180617-40.jpg

180617-41.jpg

180617-42.jpg

곳곳에 출입금지판은 풍자그림처럼

 

 

180617-43.jpg

탱크 안을 이렇게 공연장으로

 

 

180617-44.jpg

180617-45.jpg

180617-46.jpg

180617-47.jpg

다섯번째 탱크는 옹벽을 밖에서 둘러싼 모습이다.  여기는 '이야기관'으로 석유비축기지의 역사를 전시해 놓은 곳

5개 탱크는 순서대로 모두 둘러 봐야 한다.

 

 

180617-48.jpg

180617-49.jpg

180617-50.jpg

70년대 중동 석유파동으로 한달치 석유 비축분 (약 7천만 리터)을 저장해 놓았던 보안시설

 

 

180617-51.jpg

유리창에 비친 스티커

 

 

180617-52.jpg

탱크 단면

 

 

180617-53.jpg

매봉산 자락 아래 다섯개의 탱크가 박혀 있는 모습

 

 

180617-54.jpg

각 탱크들의 규격

 

 

180617-55.jpg

180617-56.jpg

180617-57.jpg

 

180617-58.jpg

석유비축기지는 2000년에 폐쇄되었고, 14년에 국제현상설계 공모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180617-59.jpg

180617-60.jpg

T1 파빌리온, T2 공연장, T3 탱크원형, T4 복합문화공간, T5 이야기관

 

 

180617-61.jpg

상암소셜박스

 

 

180617-62.jpg

180617-63.jpg

비축기지 안마당에 밤도깨비 야시장 준비하는 푸드트럭들

 

 

 

 

?
  • ?
    2018.07.03 08:46
    이게 얼마만의 글이요....웰컴 어게인!!!!!^^

  1.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관

    http://www.museum.go.kr/site/main/home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전화번호: 02-2077-9000 고려관 (중, 근세관) htt...
    Date2017.03.31 By최유진 Views152
    Read More
  2. 종로서북부 문화탐방

    종로서북부 문화탐방 이상의 집 천재화가 구본웅과 친교. 이상 (1910 ~ 1937) 본명은 김해경. 세살 때 부모 슬하를 떠나 통인동 154-10번지 백부 집에...
    Date2017.06.21 By최유진 Views150
    Read More
  3. 경북 영주 (산악회 5월)

    18. 5. 19 ~ 5. 20 산악회 5월 모임 영주. 17년 5월 소백산 둘레길 때 좋은 기억으로 18년에 또 오기로 했었단다. 이번에는 트레킹 안하고 부석사 등 ...
    Date2018.12.29 By최유진 Views149
    Read More
  4. 서울성곽길 (낙산코스)

    서울한양도성 http://seoulcitywall.seoul.go.kr/main/index.do 2코스 낙산구간 http://www.koreatrails.or.kr/course_view/?course=664 한양도성 스탬...
    Date2017.03.31 By최유진 Views142
    Read More
  5. 니세코 힐튼 빌리지

    http://www3.hilton.com/en/hotels/japan/hilton-niseko-village-CTSNVHI/index.html http://www.niseko-village.com/en/ 니세코힐튼빌리지 니세코는 ...
    Date2016.08.09 By최유진 Views141
    Read More
  6. 홍천 황금소나무펜션

    18년 7월 29일 (일) ~ 31일 (화) 여름휴가는 홍천 황금소나무펜션으로 가족끼리 쉬기 딱 좋은 곳 늦은 점심으로 허기진 뱃속을 달램. 홍천 오리닭마을....
    Date2018.12.29 By최유진 Views138
    Read More
  7. 여수 3일: 낭만낭도 (갱번미술길...

    여수 여행 3일차. 아침에 내리던 비는 그치고, 여행 계획 검색하다 '낭도' (여수 화정면)라는 섬을 포착! 전에는 들어 본 기억이 없다. 섬인데 3개 대...
    Date2022.09.15 By최유진 Views130
    Read More
  8. 농업박물관

    농업박물관 (5호선 서대문역 5번 출구) http://www.agrimuseum.or.kr/ 중구 새문안로 16 농협중앙회 중앙본부 (02-2080-5727) 농업은 인류의 생명창고....
    Date2017.03.10 By최유진 Views130
    Read More
  9. 5월의 부산: 2일차) 용궁사, 기장...

    2일차 일요일 관광. 여행 이틀 모두 날씨가 좋았다. 오늘은 주로 기장쪽으로 관광. 1) 용궁사 http://yongkungsa.or.kr/ http://yongkungsa.or.kr/bbs/...
    Date2022.12.16 By최유진 Views125
    Read More
  10. 여수 2일: 안도 (해변, 동고지/...

    여수 여행 2일째. 전날 사온 모찌랑 쵸코파이 등으로 아침식사 하고, 다시 또 돌산도로 드라이브. 베니키아호텔 여수 --> 돌산도 신기항에서 (여객선, ...
    Date2022.09.12 By최유진 Views122
    Read More
  11. 덕유산 (곤돌라, 설천봉, 향적봉)

    곤돌라 타기 위해 주차장 도착했다. 겨울 천국 스키장은 비수기 때 보면 참 다른 느낌이다. 새하얀 설원인데 지금은 초원. 이쪽이 설천봉 방향 곤돌라....
    Date2016.06.12 By최유진 Views122
    Read More
  12. 아우디 제주도 여행 1일: 한담해...

    2022.4.14 목 ~ 4.16 토. 아우디 모임 제주도 2박 3일 여행. 4명 참석 숙소: 소노캄 1박, 소노벨 1박 항공: 4.14 (목) 김포 7C151 김포 06:15 출발 ~ 4...
    Date2022.12.24 By최유진 Views1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