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85 추천 수 7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밸런타인 데이’(14일)가 오면 연례행사처럼 많은 이들이 초콜릿을 주고 받는다. 그것이 제과업체의 마케팅 전략에서 나왔건, 아니건 간에 초콜릿은 어느덧 사랑의 메신저로 자리 잡았다. 사랑을 고백하면서 호박엿이나 인절미를 건네기는 좀 이상하잖아!

초콜릿이 사랑의 상징이 된 데는 그럴듯한 이유가 있다. 사랑에 빠진 사람이 황홀함을 느끼는 건 뇌에서 페닐에틸아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인데 초콜릿에는 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오르가슴을 느낄 때 페닐에틸아민 농도는 최고치. 그래서인지 초콜릿을 정기적으로 먹는 여성의 성적 욕구나 만족도가 초콜릿을 먹지 않은 여성에 비해 높게 나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뇌 MRI 촬영 결과 하나. 젊은 남녀가 사랑하는 사진을 보여준 뒤 뇌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부위와 초콜릿을 먹을 때의 반응하는 부위는 유사하다. 이런 이유로 ‘사랑의 맛은 초콜릿’이 됐다. 호색가였던 카사노바도 초콜릿은 사랑을 유발시키는 ‘미약’(媚藥)이라고 했다고 하니 초콜릿은 분명 ‘향정신성 식품’이 틀림없다. 초콜릿의 원산지인 멕시코 아즈텍 왕국의 황제 몬테주마가 여성과 잠자리에 들기 전에 초콜릿 물을 50잔씩 마셨다 해서 초콜릿은 종종 최음제로도 묘사된다. 초콜릿에 환각 상태와 유사한 효과를 내는 아나다마이드란 물질이 포함돼 있는 건 맞다. 다만 슬픈 건, 7㎏의 초콜릿을 먹어야 대마초 한 대의 효과를 낸다는 사실. 환각 상태가 되기 전에 고(高)혈당 쇼크로 쓰러질지도 모른다.


초콜릿은 차라리 심장에 더 좋다. 적포도주 1잔 보다 초콜릿 1조각을 매일 먹는 게 심장병 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블랙 초콜릿에는 적포도주처럼 항(抗)산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가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초콜릿이 충치의 주범이란 건, 편견. 식품의 당도와 치아에 음식이 달라붙는 점착도 등을 종합해 평가한 ‘충치 유발지수’를 보면 초콜릿은 15에 불과하지만, 인절미가 19, 비스켓은 무려 27 이다. 초콜릿이 단 맛은 있지만 치아에 달라붙는 정도가 약한 탓이다.


몇 년 전 나왔던 영화 ‘21그램’은 우리 영혼의 무게가 21그램(g)이라고 해서 나온 제목이다. 죽으면 몸무게가 즉시 21g감소한다고 하여 나온 말인데, 그 무게가 바로 일반적인 초콜릿 제품 한 개의 무게다. 하루에 그 정도 먹으면 영혼은 사랑으로 채워지고 그 이상 먹으면 높은 칼로리로 육체가 풍성해진다는 의미도 될 듯 싶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3 노화체크리스트 (조선일보) 1 file 최유진 2005.10.12 1148
1082 노후 행복은 지금 인간관계가 결정한다. (매경) 최유진 2014.02.07 634
1081 놀이기구 file 최유진 2012.06.04 919
1080 놀이기구 2 file 최유진 2012.06.04 979
1079 놀이방 있는... 최유진 2004.12.09 1680
1078 농경문 청동기, 청동거울, 청동방울 최유진 2017.03.20 166
1077 뇌 교육 최유진 2014.04.25 749
1076 뇌를 젊게 하는 방법 (조선일보) 최유진 2009.03.09 987
1075 뇌심혈관질환 예방 (스크랩) file 최유진 2008.01.04 863
1074 누군가를 좋아할 땐 (펌) 최유진 2006.10.14 1197
1073 눈물의 건강학 (발췌) 최유진 2006.03.08 774
1072 눈오는 풍경 file 2005.03.10 1279
1071 니드포스피드 언더그라운드2 카센타 위치 file 2005.01.14 1259
1070 니드포스피드 언더그라운드2와 패스트앤퓨리어스2 file 2004.12.22 1527
1069 니드포스피드.. file 2011.05.13 1097
1068 니즈 (needs)와 원츠 (wants) file 최유진 2010.07.19 909
1067 다들 똑같다.. 1 최유진 2005.07.27 1123
1066 다빈치 코드 (2006, 론 하워드 감독) file 최유진 2006.10.28 1216
1065 다수의 침묵... (동아일보 사설) 최유진 2009.08.11 879
1064 다시 내려오신 지름신.. 2 file 2006.01.10 1118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