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tp://www.chosun.com/culture/news/200604/200604050010.html내가 못난게 아니었어 그놈의 말투때문에…

말솜씨가 ‘女사원 운명’ 바꾼다

“언니~” “어~야~” 등 소녀 말투 버려야

“결근해요 봐주삼” 상사에 메시지 금물



4월쯤이면, 갓 입사한 여성 회사원들이 부서 배치를 받고 업무를 할당받아 능력을 선보이는 시점이다. 문제는 적잖은 여성들이 이미지관리에 실패해 능력을 제대로 평가받을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 새내기 여성직장인들, ‘서바이벌’을 위해 무엇을 점검해야 할 것인가.

◆뿌리 뽑자, 사소한 말 실수


여성들이 입사 초기 첫 인상을 망치는 것은 사소한 말 실수 때문이다. 호칭에 철저하지 않은 것도 여성들의 약점 중 하나. 최근 잡지사에 입사한 송미나(24)씨는 ‘편집장님’을 ‘팀장님’이라고 부르다가 “우리 회사에 팀이 어딨냐”며 면박을 당했다. ‘선배님’ 대신 ‘언니’ 같은 사적인 호칭을 쓰는 것도 공사 구분이 분명치 않다는 인상을 준다. 회사원 김미영(32)씨는 “여자 후배들은 ‘네, 갖다 놨습니다’ 하고 문장을 종결짓지 않고 “갖다 놨는데…” 하며 끝을 흐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친구들 사이에서 쓰던 말투를 직장에서 남발하는 것도 신입사원들이 버려야 할 태도. 입사 2년차인 유희정(25)씨는 상사의 농담에 “아, 뭐야~” 하고 반응했다가 건방지다는 오해를 샀다. 입사 8개월 된 회사원 김선미(23)씨는 출근이 좀 늦을 것 같다는 보고를 전화가 아닌 문자 메시지로 상사에게 보냈다가 “내가 네 친구냐?”는 꾸지람을 들었다. 초등학교 교사 윤화숙(41)씨는 “‘라인이 죽이시네요’ ‘짱 좋아요’ 같은 속어를 쓴다든가, 일 시켰을 때 ‘웬일~’ ‘꼭 해야 돼요?’ 하며 토 다는 후배들을 보면 신임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화 전문가 이정숙씨는 “연대감을 중시하는 여성들은 윗사람이 친근하게 대해 주면 너무 격의 없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직장은 세대와 문화가 다른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인 만큼, 권위적이지 않은 조직이라도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킬 때 자신도 존중받는다”고 말했다.


◆청중의 뇌리에 핵심을 심어라


광고회사 입사 1년차인 김은영(가명·26)씨는 회의 시간에 충격을 받았다. 남자 동료의 광고안이 “기발하고 재미있다”는 좌중의 호평을 받으며 채택된 것. 표현 방식은 좀 달랐지만 본질적으로는 두 달 전 회의석상에서 은영씨가 제기했던 아이디어였다.


전문가들은 “많은 경우 ‘능력’이 아니라 ‘전달력’ 부족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프레젠테이션 컨설턴트인 SB컨설팅의 심재우 대표는 “여성들은 발표 준비도 많이 해 오고 발음도 명료한데 ?말이 너무 빠르거나 ?설명이 장황하거나 ?목소리가 작거나 ?시선이 산만하거나 ?너무 현란한 제스처를 구사해, 말하려는 바가 권위 있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청중과 눈을 맞추면서 천천히, 단순 명료하게 말하는 훈련, 싸늘한 분위기에서도 기죽지 않고 의견을 표명하는 훈련도 필요하다. ‘남자처럼 일하고 여자처럼 승리하라’의 저자 게일 에반스는 “여자들은 회의 시간에 눈에 띄지 않는 뒤쪽 자리에 앉는 경향이 있다”며 “앞쪽에 앉을수록 의견 반영률이 높아진다”고 충고한다.


◆어설픈 남 흉내? 안 하는 게 낫다


남성적인 기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말과 행동을 ‘남성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니다. 대학강단에 서기 전 직장생활을 한 경험이 있는 강혜련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남자들처럼 양 팔을 의자에 걸친 채 삐딱하게 앉아 의견을 말했다가 역효과가 난 적이 있다”면서, “맹목적으로 남을 따라하기 보다는 자기다움으로 승부를 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협상’같은 중요한 순간에도, 어색하게 180도 돌변한 태도를 보일 게 아니라 평소 스타일을 유지하고, 본심을 솔직히 털어놓는 게 도움이 된다. 대기업 팀장인 박광현씨는 “어색한 권위를 갖추려는 것보다는, 솔직함을 무기로 삼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이자연기자 achim@chosun.com
윤서현=중앙대 영문학과 4년
방희경 인턴기자=동국대 신문방송학과 4년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3 굿바이! 미스터 블랙 (황미나: 전 5권) 3 file 최유진 2006.04.04 2145
1022 우리 아이 단점? 달리 보면 장점! (조선일보 라이프 & 스타일) 최유진 2006.04.05 941
» 말 솜씨가 '여사원 운명' 바꾼다 (조선일보 라이프 & 스타일) file 최유진 2006.04.05 898
1020 공휴일이면 나무 심었을래나? file 최유진 2006.04.05 1057
1019 드라마 '봄의 왈츠' 로케이션 장소들.. 1 file 최유진 2006.04.05 1121
1018 '경기도 맛집' (조선일보 Weekend) file 최유진 2006.04.07 1255
1017 우리도 커플룩 한번 하자... 3 file 2006.04.11 1029
1016 찰나의 순간 행운과 불행이 엇갈린다. 2 file 최유진 2006.04.12 1210
1015 마시멜로 이야기.. file 2006.04.12 869
1014 공주여행 2006.04.12 924
1013 wincom file 2006.04.13 977
1012 직관을 믿고 직관에 맡겨라 (행복한 경영이야기 발췌) 최유진 2006.04.17 997
1011 전주 국제 영화제 이 맛에 간다! (조선일보 주말매거진) 3 최유진 2006.04.20 1074
1010 사랑받는 사람의 비밀 (좋은 생각) 최유진 2006.04.20 979
1009 봄의 왈츠 빨랑 끝나길... file 최유진 2006.05.04 971
1008 게이샤의 추억 file 최유진 2006.05.04 921
1007 하울의 움직이는 성 file 최유진 2006.05.04 960
1006 오스트리아 할슈타트 file 최유진 2006.05.08 1188
1005 마이너리티 리포트 (Minority Report) file 최유진 2006.05.08 916
1004 몬스터 (Monster): 우라사와 나오키 1 file 최유진 2006.05.09 1226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