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7 추천 수 1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공식 P = 40-70을 자주 사용한다. P는 성공할 가능성을 나타내며 숫자는 요구된 정보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맞을 가능성이 40-70% 사이에 들 정도로 정보가 모이면 직감적으로 추진하라. 맞을 기회가 40% 미만일 정도로 정보가 적으면 행동을 취하지 말라. 하지만 100% 확실한 정보를 갖게 될 때 까지 기다릴 수만은 없다. 왜냐면 그때가 되면 너무 늦기 때문이다.” 콜린 파월 미국 전 국무장관의 말입니다.

실패하는 경영자의 특성 중 하나가 과도한 조심(excessive caution), 즉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두려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의사결정은 경영자 고유의 권한이자 책임입니다. 지나친 정보 수집, 즉 ’분석 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위험 부담을 줄인다는 이유 때문에 시간을 지체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증대시킵니다. Good to Great 저자 짐 콜린스 역시 “유능한 경영인은 결정이 아무리 힘들고 어렵더라도 결코 미루지 않는다. 실패한 결정 10개중 8개는 판단을 잘못 해서가 아니라 ‘제 때’ 결정을 못 내렸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다”고 신속한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80% 옳은 것을 하는 것이 마지막 기회에 100% 정확한 것을 하는 것보다 낫다는 얘기도 같은 맥락입니다. 경영은 정답을 맞히는 게임이 아닌, 불확실성 속에서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게임입니다. 합리적이고 정확한 의사결정보다도 실패를 무릅쓴 과감한 의사결정을 적시에 내리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합리적, 참여에 의한 의사결정 룰을 따르기보다 리더의 통찰력과 직관에 의존한 의사결정을 즐겨 내려야 합니다. 당연히 거기에 따른 책임도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역사상 위대한 의사결정은 대부분 직관에 의한 것입니다.

- 조영탁 올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3 죽기살기 노후대비 1 file 최유진 2005.09.13 1168
522 개콘 '고음불가' 이수근 2 최유진 2006.03.27 1168
521 유진언니 두연맘이예요 1 두연맘 2006.08.08 1168
520 칼이 너무 잘 들어서.. file 최유진 2005.11.09 1169
519 [Transformer] 2007, 마이클베이 감독 2 file 최유진 2007.07.05 1169
518 컴활 자격시험일정 2006.01.12 1170
517 가습기 사용 (중앙일보) 최유진 2007.01.15 1170
516 <프리즌 ~ > season 2 file 최유진 2007.09.28 1170
515 무주리조트 정보 file 최유진 2010.01.21 1170
514 자막 앞부분 2010.04.04 1170
513 유로앤틱 사이트 링크 2006.05.17 1171
512 내친 김에 고우영 <삼국지>까지.. 1 file 최유진 2007.09.13 1171
511 PeterBilt 378 (자작품 - 1) 1 file 2004.12.01 1172
510 시공디스커버리총서 4 최유진 2005.08.30 1172
509 아이러니칼한 질문들 2 최유진 2005.09.06 1172
508 중국의 먹거리 (중국여행동호회 펌) 최유진 2006.01.24 1172
507 가끔 지름신이 내려오며 도무지 막을수 없을때가 있다 file 2010.07.02 1172
506 영화 추천 7 킹덤 오브 헤븐 (Kingdom of Heaven) 2 file 최유진 2005.06.17 1173
505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 2 file 최유진 2007.07.18 1173
504 노경선 박사의 자녀 육아법 (조선일보 맛있는 공부) 최유진 2007.09.17 1173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