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73 추천 수 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작년인가 조선일보에서 나왔던..

최근 기사 중, 소주회사 대표들이 모이는 자리들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소주를 마실까라는 내용이 있었다.
결론은 여러 소주를 모두 하나에 부어 섞어서 마신다는..

----------------------------

Alcohol: 21도가 대세. 희석식이 개발됐던 1965년, 기본 30도에서 25도(1973), 23도(1999), 22도(2001)로 낮아지다 2004년 ‘참이슬’과 ‘산소주’를 시작으로 21도 경쟁이 붙었다.

Bombs(폭탄주): ‘소맥(소주+맥주)’, ‘오십세주(소주+백세주)’, ‘백두산(백세주1+산소주2)’, ‘소백산맥주(소주+백세주+산사춘+맥주) 등. 소주+설중매는 ‘소설주’요, 소주+광동탕은 ‘백세주’.
  
Connection: 삼겹살엔 소주. 2003년 말 ‘국순당’에서 ‘삼겹살과 메밀 한잔’이라는 약주를 내놨지만 반응은 별로.
  
Distillation(증류식): 시판되는 증류식은 ‘안동소주(45도)’, ‘화요(25도/41도)’등.

Economy: 경제와 소주. 주류공업협회에 따르면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과 1997년, 소주소비량이 5%씩 늘었다. 2003, 2004년에도 마찬가지. 소주소비량은 실업률 따라 높아지다가 불황이 장기화되면 다시 감소한다고.

Fruit: 서울 대학로 ‘반저’(02-742-9779), 청담동 ‘안(安·02-542-6381), 강남역 ‘휴(休·02-554-9221)’, ‘별포차(02-599-8845)’등에선 사과·오렌지·수박에 과일소주를 담아낸다.

Gusto(맛): 주당들은 맛만 봐도 어느 공장에서 나온 ‘참이슬’인지 안다고. 주류포털업체 ‘이소주’ 최경석 대표는 “몇 년 전, 300명이 상표 가리고 10개사 소주를 시음했는데 소주 선호도에 별 차이가 없었다”고 했다.

Hangover(숙취): 콩나물국, 북어국, 선지국, 조개국, 굴, 오이즙, 녹차, 동치미국물, 굵은 소금 등이 좋다. 해장술은 독이다.

Influenza: 소주에 고추가루 뿌려 마시면 체온이 잠깐 낮아져 열이 식는 기분이 들 뿐 감기가 낫진 않는다.

Japan: 작년부터 일본의 소주 소비량이 청주를 앞질렀다. 두산 홍보담당 김윤종차장은 “일본 소주시장 15%는 두산·진로 등 한국 업체가 점유하고 있다”고 했다. 일본에선 소주를 양주처럼 물·얼음·레몬과 섞어 마시고 키핑(keeping)도 한다.

Kcal: 소주 한잔은 약 70㎉. 영양소는 없다.

Limit: 현재 가장 묽은 소주는 하이트의 ‘보배20(20도)’. 1991년 보해가 15도 소주(보해라이트)를 출시한 적이 있지만 곧 잊혀졌다.

Model: 진로가 1998년 ‘참이슬’에 이영애를 내세우면서 황수정·박주미·김정은·김태희·성유리가 바톤을 이어받았고 손예진(산소주), 한예슬(참소주), 장나라(잎새주)등 소주 모델은 여자로 굳어졌다. 16도 넘는 술은 TV광고 못 한다.

North Korea: 북한 대표 소주는 25도 ‘평양소주’. 지난 10월부터 미국 LA에서 시판.

Origin: 페르시아에서 발달한 증류법이 중국 거쳐 고려 말에 들어왔다고. 국내최초 대량생산업체는 ‘진로’의 전신 ‘진천양조상회(1924년)’.

Purchase: 지방소주는 유통망이 넓지 않아 해당지역이 아니면 구하기 쉽지 않다. 서울 대형할인마트나 주류백화점 등에서 보해 등 일부를 구할 수 있다.

Quota(할당): 1976년 정부가 ‘자도주(自都酒) 구입제도’를 시행해 1개 업체가 한 지역을 장악하는 현재 구도가 형성됐다. 1996년 완전 폐지됐다.

Regime: 정권에 따라 소주도 흥망이 갈릴까. 진로 홍보담당 전영택 차장은 “IMF 시기 공장이 많았던 영남지방에 실업자가 늘자 자도주 소비량이 30% 늘었다”고 말했다.

Spirit(주정·酒精): 3년 전 WTO는 한국 술 소비량이 세계 2위라고 보고했다. 희석식소주 원료인 ‘Spirit’을 이중 계산해 일어난 해프닝. 실제 한국 술 소비량은 31위.

Temperature: ‘참이슬’은 ‘8~12℃’ ‘산’ 소주는 5℃에 마시는 게 맛있다고 각 업체는 권한다.

Up and down: ‘산’은 2001년 출시 당시 ‘소주’ 취급을 못받았다. ‘녹차’ 첨가물 때문이었다.
2002년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차 성분도 소주첨가물로 인정되면서 소주 반열에 올랐다.

Victor: 2004년 시장점유율은 ‘진로’(54.9%)가 압도적. 그 뒤를 금복주(10.2%), 대선(8.6%)이 잇고 있다. 수도권은 진로가 91%, 두산이 7%다.

Wrong: 병을 딴 뒤 병목을 쳐서 튀어나오는 몇 방울을 버리는 주당들이 있다. 윗술에 알코올이 몰려있어 쓰다는 이유인데 낭설이다.

Xilytole(자일리톨): 부산 시원소주엔 충치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자일리톨이 첨가돼 있다.

Y(Why): 왜 21도 소주병은 모두 녹색? 과거 소주는 ‘독주(毒酒)’ 이미지를 살리는 투명한 병이나 하늘색 병에 담았다. 93년 두산 ‘그린’을 시작으로 ‘부드러움’이 강조되면서 21도는 모두 녹색이 됐다.

Zone(21도 지역대표소주): 수도권=진로 참이슬, 강원도=두산 산, 대전·충남=선양 맑은린(20.5도), 충북=충북소주 시원소주, 대구·경북=금복주 참소주, 부산=대선주조 시원소주, 경남=무학 화이트, 광주·전남=보해양조 잎새주, 전북=하이트주조 하이트, 제주=한라산소주 한라산물 순한소주.



▷▶ 소주가 좋아

소주가 35도→ 21도로 내려가는 동안 세상사도 많이 순해졌다. 하지만 누구나 겪는 인생사 닳고 닳은 얘기들 사이에 소주가 끼는 건 어김이 없다. 20대·30대·40대·60대 세대별 소주마니아 4인방이 28일 서울 대학로에서 한잔 했다.


출처 : 조선일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3 비극이다... 최유진 2009.05.25 989
962 어느 멋진 인생 (조선일보 스크랩) 최유진 2009.05.19 995
961 유명산 자연 휴양림 최유진 2009.05.15 1260
960 Now and Here (조선일보 Why 20090509) 최유진 2009.05.11 940
959 야구 글러브 file 2009.05.07 1051
958 미드 <24> file 최유진 2009.05.06 1007
957 직장생활 CEO 마인드로 하라 file 최유진 2009.04.23 975
956 기대되는 개봉작들 file 최유진 2009.04.23 1062
955 지름신 내려왔다...룰루루 1 file 2009.04.22 1025
954 부활절 계란 file 최유진 2009.04.18 1214
953 개그우먼들 (스포츠서울 link) file 최유진 2009.04.13 1118
952 네 평판을 돌아 보라 (블로그 펌) 최유진 2009.04.10 1093
951 격언 최유진 2009.04.10 1002
950 영광 여행 링크 최유진 2009.04.10 1092
949 여왕 등극 file 최유진 2009.03.30 1034
948 스포츠 강국 file 최유진 2009.03.30 1028
947 꽃보다 연애질 (펌) file 최유진 2009.03.27 1652
946 남자와 여자의 차이 최유진 2009.03.26 988
945 맛집 고르기 (경향닷컴) 최유진 2009.03.23 1165
944 해남 여행 링크 1 최유진 2009.03.17 907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