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96 추천 수 7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1) 먼저 자녀의 말을 잘 들어주기

대화는 서로의 마음을 열게 하고 이해하게 하며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겨움을 갖게 합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 말을 정성껏 귀담아 들어줄 때 사랑받고 인정받고 있다고 생각해 행복해 합니다.  아이의 말을 들어줄 때는 건성으로 '응, 알았다'하는 소극적 반응보다는 눈을 맞추면서 '그랬구나.  그래서 어떻게 되었니?  정말?' 등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야 하며 아이의 감정 표현에 부모도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표정으로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아이에게 부모가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자신이 부모에게 꼭 필요한 존재임으 느끼도록 해줍니다.


2) 잘 하는 것에 초점 두고 말해주기

잘 하는 것은 놔두고 못하는 것만 꾸중을 하기 쉬운데, 아이와 대화를 시작할 때는 잘 하는 것을 칭찬하면서 못하는 것을 격려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벌써 세수를 다 했구나.  잠옷도 갈아 입으면 좋겠다' 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더불어 하찮은 일을 했더라도 반드시 칭찬을 해주는 것도 중요한데, 아이 스스로 한 노력에 대한 격려와 존중이 반드시 있어야 아이는 점차로 부모가 원하는 쪽으로 노력을 기울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3)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말하기

이해받는 느낌은 아이로 하여금 힘들고 속상할 때 쉽게 마음이 풀리도록 돕고 더불어 자신을 위로하고 사랑해 주는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고 싶어지도록 이끌어 줍니다.  잘못한 아이에게 야단을 치거나 혼을 내기 보다는, '뭘 잘못했는지 아는 것 같구나.  잘 하려고 했는데 안돼서 마음이 많이 상했구나' 하며 아이의 심정을 알아주며 머리를 쓰다듬어 주고 한번 안아주는 것이 열 마디의 대화보다 부모를 깊게 느끼도록 해줄 것입니다.


<휴먼다이나믹 7월 정기 특강, 여름 휴가 동안 자녀와의 효과적인 시간 활용 중...>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3 원작, 드라마, 그리고 역사 file 최유진 2008.12.09 1092
602 [칼럼] ‘제갈공명’ 신드롬에 묻힌 고구려 역사 (프라임경제 링크) 최유진 2008.12.15 1009
601 좋은 상사, 부하 (한국경제) 최유진 2008.12.16 949
600 뱃살 빼기 수칙 (한국경제) 1 최유진 2008.12.17 975
599 가구 링크들.. 최유진 2008.12.22 1898
598 상사의 유형 (한국경제) 최유진 2008.12.23 959
597 굴, 꼬막 링크 2008.12.23 1137
596 추격자, 김윤석, 하정우 file 최유진 2009.01.02 1146
595 고려 왕조 최유진 2009.01.05 1130
594 아이들과 함께: 포뇨, 볼트 file 최유진 2009.01.06 986
593 부하직원 길들이기 (한국경제) 최유진 2009.01.13 1526
592 미디어코더 2009.01.24 894
591 주말 여행지 최유진 2009.01.30 916
590 서랍장 등.. 최유진 2009.02.09 1659
589 Boys Over Flower: 원작과 드라마 file 최유진 2009.02.10 1182
588 연쇄살인범들.. 최유진 2009.02.12 1199
587 추기경님 선종 최유진 2009.02.18 1054
586 좋은 학부모 되기 최유진 2009.02.20 909
585 추기경님 녹음 육성 최유진 2009.02.23 1066
584 크리스피 도넛 file 2009.02.24 1198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