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20 15:22

이중섭 전시회

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픈 인생을 살다간 비운의 천재 화가 이중섭

덕수궁 미술관에서 전시회 보고, 다큐 드라마 2부작도 시청했다.

 

전쟁은 모든 것을 빼앗아 갔다.  천재성을 잘 알아 보고 도움을 준 조력자들 덕분에 그의 사후 세계는 침범할 수 없는 성스러운 영역이 되었다.

그러나 주변은 순전히 사기꾼들로 넘쳐 났다.  혼란의 시대, 아픔의 시대라고만 치부하기에는 부끄럽게도 한 천재의 일생을 망쳐 버려서 속상하고 창피하다.

가족을 떠나 보내고 얼마나 외로웠을지..  희망이 절망으로 변하는 순간을 상상하니 가슴이 아프다.

 

 

http://www.jungseob.com/

 

main_img01_R.jpg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1&contents_id=5120

이중섭 (네이버캐스트)

 

 

한국의 서양화가. 박수근과 함께 한국 근대서양화의 양대 거목으로 시대의 아픔과 굴곡 많은 생애의 울분을 ‘소’라는 모티프를 통해 분출해냈다. 대담하고 거친 선묘를 특징으로 하면서도 해학과 천진무구한 소년의 정감이 작품 속에 녹아 있으며, 경쾌하고 유연한 필선의 은지화는 그 고유성을 인정받아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소장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중섭 [Lee Jung Seop, 李仲燮] (두산백과)

 

이중섭은 1916년 평남 평원(平原)에서 대지주 집안의 삼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오산고등보통학교에서 스승인 임용련을 만나 서구의 새로운 예술에 일찍 눈을 뜨는 한편 남다른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다. 1935년 일본으로 건너가 제국미술학교에 입학했으나 1년 만에 일본 문화학원 미술학부(양화과)로 옮겼다. 당시 문화학원은 문부성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로 상류층 자제들이 많이 다녔다. 김병기, 문학수, 유영국, 안기풍, 이정규 등이 문화학원에 먼저 들어와 있어 이들과 교유했다.

이중섭은 1938년 자유미술가협회의 제2회 공모전에 출품해 수상을 하고 평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자유미술가협회는 당시에 가장 전위적인 미술 단체로 일본 추상미술의 중심 그룹이었다. 한국인으로 김환기, 유영국, 이규상, 박생광, 송혜수, 문학수 등이 참여했으며, 추상을 표방한 단체였지만 표현파, 야수파, 입체파, 초현실파 등 새로운 예술사조도 수용하고 있었다. 이중섭은 표현주의적인 경향으로 소를 모티프로 한 작품을 주로 그렸다. 그는 1941년 일본에 유학한 미술가들이 결성한 조선신미술가협회의 회우로 추대되어 민족적 미의식의 실현을 도모했다. 1943년에는 제7회 자유미술가협회전에서 특별상인 태양상을 수상했다.

이중섭은 1943년 조선신미술가협회전에 출품하기 위해 귀국했다가 일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그만두고 원산에 머물렀다. 1945년 문화학원 재학 중 일본인 후배이며 애인이었던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가 홀로 현해탄을 건너와 그해 5월 원산에서 결혼했다. 마사코는 이남덕(李南德)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중섭은 원산사범학교 교원으로 있다가 6·25전쟁 때 월남하여 종군화가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신사실파 동인으로도 참여했다. 월남 이후에는 부산, 제주, 통영, 진주, 대구 등지를 전전하며 그림을 그렸고, 재료가 없어 담뱃갑 은박지를 화폭 대신 쓰기도 했다.

1952년 부인이 생활고로 두 아들과 함께 도일(渡日)하자, 부두노동을 하다가 정부의 환도(還都)와 함께 상경하여 1955년 미도파화랑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전시는 호평이었으나 은종이 그림이 춘화라는 이유로 철거되고 팔린 그림 값을 떼이는 등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큰 실의에 빠졌다. 그는 일본에 보낸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도는 유랑 생활,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깊은 좌절과 자괴감으로 몸과 마음이 극도로 쇠약해져 조현병(정신분열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1956년 영양실조와 간염으로 고통을 겪다가 그해 9월 6일 서울적십자병원에서 홀로 숨을 거뒀다.

이중섭은 평탄치 않았던 생애로 인해 ‘비운의 화가’로 전설처럼 기억되고 있다. 그는 시대의 아픔과 개인의 고독과 절망을 그림으로 해소하려는 듯 격렬한 터치로 소를 그렸고, 가족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으로 도원과 같은 환상적인 이상세계를 화폭에 담았다. 소 그림은 1930년대부터 이중섭의 작품에 등장하는데, 흰 소를 자주 그린 것과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뒤엉킨 두 마리 소의 대결에서 민족에 대한 자각을 일깨워준다. 또한 그에게 소는 자신의 분신과 같은 존재로 갈등과 고통, 절망, 분노를 표현하고, 때로는 희망과 의지, 힘을 상징한다. 또한 소와 아이가 어울려 노는 장면을 통해 특유의 해학적인 웃음과 인간적인 정감을 드러내주고 있다.

그의 예술의 특징은 자유분방한 선묘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가 그린 소 그림은 한 마디로 선으로 그린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격렬한 소의 동세를 표현한 것은 그의 거침없는 필선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담뱃갑 속에 든 은종이 위에 송곳이나 나무 펜으로 아이들이 물고기와 어우러져 노는 장면이나 단란한 가족의 모습을 담은 그림은 그 경쾌하고 유연한 필선에서 살아있는 생명감을 느끼게 한다. 이 같은 은지화는 그의 선묘화의 특성이 발현되고 독자적으로 창안된 정수로서 가치를 지닌다. 그의 은지화 3점은 은지 속에 담긴 내용과 독특한 재료의 개발이라는 점에서 고유성을 인정받아 현재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소장되어 있다.

이중섭은 삶이 곧 예술이고, 예술이 곧 그의 삶 전체와 동일시된다. 그는 화가이기에 그림 그리는 일을 주업으로 선택한 것이 아니라 그의 삶을 지탱시키는 원동력이자 구원자였기에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절실하고 삶 전체가 오롯이 화폭 안에 스며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일본에 가 있는 가족에게 “나의 태현아, 건강하겠지. 아빠가 엄마, 태성이, 태현이를 소달구지에 태우고 아빠가 앞에서 끌고 따뜻한 남쪽 나라로 가는 그림을 그렸다. 황소 위에는 구름이 떠 있다.”는 사연과 함께 《길 떠나는 가족》을 그려 보낸 일도 있다.

주요 작품에는 《서귀포의 환상》(1951년), 《물고기와 노는 세 어린이》(1953년), 《소》(1953년), 《부부》(1953년경), 《황소》(1953~1954년경), 《길 떠나는 가족》(1954년), 《도원》(1954년), 《달과 까마귀》(1954년), 《투계》(1954년경), 《흰 소》(1954년경), 《누운 소》(1954년경), 《구상네 가족》(1955년)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중섭 [Lee Jung Seop, 李仲燮] (두산백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2 반가사유상 (국보 83호) file 최유진 2017.01.02 132
1501 고조선 (두산백과) 최유진 2017.01.02 98
1500 진흥왕, 지소태후 최유진 2016.12.21 99
1499 관람 프로그램들 최유진 2016.11.29 82
1498 역대 백제 왕 (네이버캐스트) 최유진 2016.11.21 76
1497 백제 의자왕 (네이버캐스트) 최유진 2016.11.21 84
1496 iptime g504세팅 2016.11.08 72
1495 고려 광종 최유진 2016.10.10 108
1494 고려 충렬왕 최유진 2016.10.10 101
1493 악보모여있는곳 2016.10.06 114
1492 공주 부여 링크 최유진 2016.10.06 65
1491 웃긴 광고 2016.09.30 36
1490 취직 잘 되고 대입 유리 “전교 100등 중 87명이 이과” 최유진 2016.09.26 66
» 이중섭 전시회 file 최유진 2016.09.20 130
1488 영화 밀정 배경 file 최유진 2016.08.23 220
1487 “학생부 올린 독서활동, 엄마인 내가 다 썼어요” 최유진 2016.07.15 99
1486 부모보다 빈곤할 청년세대 ‘나아질 희망도 없다’ 최유진 2016.07.15 72
1485 북해도 관련 링크 file 최유진 2016.07.12 107
1484 50플러스 캠퍼스 최유진 2016.07.11 214
1483 日 지진조사위원장 "한국도 '규모 7' 내륙형 지진 대비 필요" 최유진 2016.07.07 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7 Next
/ 7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