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9 11:19

문경 (석탄박물관)

조회 수 100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5년 1월 산악회 신년 모임은 문경에서.  1박 후 이튿날 문경새재 3관문까지 걷기

첫날은 가족끼리 문경석탄박물관, 가은셋트장 (KBS 사극 드라마) 구경.  차를 사고 처음으로 달려 보는 여행이라 기분이 남다르다.  도중에 충주 휴게소 들러 잠깐 휴식 후 일찍 도착했다.  박물관 주변은 '오미자 (문경 특산물) 공원'으로 만들어져 있다.

1938년 은성광업소가 문을 열어 60여년동안 40개 광산에서 우리 나라 석탄 생산량의 13%까지 점유하게 되었으나 천연가스와 석유 대체로 모든 석탄 산업은 사양화의 길에 접어 들어 폐광하기에 이른다.


jan10-03.jpg

jan10-04.jpg
석탄 박물관 자체로는 태백과 비교되지만 이 일대 번성했던 탄광 산업의 땀과 발자취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상당히 의미있는 곳이다.
지나간 역사는 기록으로만 남지만 오늘 내가 딛고 서 있는 이 모양새의 터전을 만들어 준 곳 중 하나이다.

jan10-05.jpg
3번 둥그런 문경석탄박물관 부터 --> 윗쪽에 있는 은성갱 --> 밖으로 내려 나와서 모노레일타고 올라가서 KBS 셋트장 구경하기로.


http://coal.gbmg.go.kr/
문경 석탄박물관
어른 (입장료/갱도체험관 통합) 6천원, 청소년 4,800원, 어린이 3,000원



jan10-06.jpg
야외 입구에 광산장비체험장.  전시 장비들 많이 있다

jan10-07.jpg
박물관 안 들어가면 곧바로 계단 위에 광부들의 사진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jan10-08.jpg

jan10-09.jpg
2층 전시실 석탄의 기원과 종류 등.
인간이 있기 이전부터 있었던 석탄.  지질시대가 인간에게 준 선물 석탄.  석탄이 없었다면 인간의 역사는 발전하지 못했다.

jan10-10.jpg
나선형으로 2층 3층으로 올라가도록, 자그마한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광물/화석 코너, 석탄과 탄광, 폐탄광 현황, 석탄의 이용, 석탄산업의 역사
3층에는 출갱모형, 탄광촌이야기, 매직비젼, 탄광사무실/광부복장, 굴진/채탄, 선탄/은성광업소모형/탄광재해, 영상실, 디오라마 등

jan10-11.jpg
괴탄

jan10-12.jpg
방해석

jan10-13.jpg
정선 삼척 다음으로 매장량이 단양 보은쪽과 엇비슷.  전국 5위 안에 들었던 곳

jan10-14.jpg
석탄의 이용 예

jan10-15.jpg

jan10-16.jpg
연탄, 난로, 집게

jan10-17.jpg
수동식 연탄제조 & 기계식 연탄제조기

jan10-18.jpg

jan10-19.jpg
축전차

jan10-20.jpg

jan10-21.jpg
쥐 이야기

jan10-22.jpg
금기 사항

jan10-23.jpg
가은읍에서 마성면까지 뻗어 있어서 '은성'무연탄광으로 이름지어짐

jan10-24.jpg
굴진

jan10-25.jpg
선탄작업.  여성 광부들도 많았는데 광부 미망인들도 채용했다

jan10-26.jpg

jan10-27.jpg

jan10-28.jpg
이제 3층 밖으로 나가면 '거미열차' 타는 곳으로.  

jan10-29.jpg
거미열차 탑승 입구

jan10-30.jpg
귀여운 열차를 타고 터널을 통과하면서 고생대 습지, 지질시대, 석탄 발견 등과 발전 역사 등, 단계마다 영상으로 간단한 설명 들을 듣는다.

jan10-31.jpg
타는 곳

jan10-37.jpg
과거 속으로

jan10-32.jpg
앞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던 기차가 영상 앞에 멈추면 2개 의자씩 왼쪽으로 틀어져 극장식 좌석이 된다.

jan10-33.jpg
간단한 고생대 역사부터

jan10-34.jpg
석탄 산업과 광부들

jan10-38.jpg

jan10-39.jpg

jan10-35.jpg
미래 모습에 대하여

jan10-36.jpg

jan10-40.jpg
15분 남짓 타고 나오는데, 다 보고 나면 어린 아이들 수준이다.  별로 재미는 없다.


jan10-41.jpg
거미열차에서 나온 후, 폐광된 은성갱도 안으로
1963년에 뚫은 이 갱도는 1994년 은성광업소가 문 닫을 때까지 사용하였다.  광부들은 이 갱도를 하루 세번 번갈아 드나들면서 석탄을 캐내고 지하갱도에서 캐낸 석탄을 선탄장으로 운반하였다.  갱도깊이는 800미터, 석탄을 캐내기 위해 들어간 갱도의 전체 길이는 400키로미너, 광산이 문 닫을 때까지 이 곳에서 4천 3백명이 일했다.

jan10-42.jpg

jan10-43.jpg

jan10-44.jpg
갱내 자전거

jan10-45.jpg
오른쪽에 벨트 컨베이어

jan10-46.jpg

jan10-47.jpg
실제 사갱

jan10-48.jpg

jan10-49.jpg

jan10-50.jpg

jan10-51.jpg

jan10-52.jpg

jan10-53.jpg
갱내 사무실 모습

jan10-54.jpg

jan10-55.jpg
굴진막장

jan10-56.jpg

jan10-57.jpg
갱내 식사하는 모습 모형

jan10-58.jpg
은성광업소 사택 전시관 구경.  광부 가족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곳.

jan10-59.jpg

jan10-60.jpg

jan10-61.jpg

jan10-62.jpg

jan10-63.jpg

jan10-64.jpg

jan10-65.jpg
78년 월급 7만 6천 2백원

jan10-66.jpg
대포집 모습.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도록 대화 음성이 반복되는데 저 탁사발도 입에 턱~하니 가져 간다

jan10-67.jpg

jan10-68.jpg
저 담배들, 여러 가지 기억 난다.

jan10-69.jpg

jan10-70.jpg
다시 아래 쪽으로. 광산장비전시장 공간

jan10-71.jpg

jan10-72.jpg


석탄이란:  석탄은 식물들의 유해가 퇴적암의 지층과 같이 퇴적되어 남게 된 하나의 유기적 퇴적암으로 그 기원은 지금으로부터 약 3억년 전, 지질시대로는 고생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 거대한 숲을 형성했던 식물군이 지각변동에 의해 땅 속으로 매몰되어 두꺼운 지층을 만들게 되고 오랜 지질시대 동안 압력과 지열을 받아 산소가 빠져나가고 탄소만 남는 탄화작용을 일으키면서 높은 칼로리의 석탄층을 형성하였다. 산소가 적기 때문에 불이 잘 붙지 않고, 한 번 불이 붙으면 천천히 타면서 열량을 내기 때문에 우리가 에너지로 사용한다.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토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등으로 나누어 진다.

?
  • ?
    2015.01.27 17:15
    실 갱도를 개조해서 보여준 곳이 인상깊었고, 마을을 꾸며놓은 곳도 인상깊었던 곳...그러나!! 석탄박물관은 뭐니뭐니 해도 태백석탄박물관이 최고였었던거!!

  1. 거가대교

    (윗 사진, 해저터널로 들어가는 가덕터널) 부산에서 통영을 가려니 '거가대교'를 건너게 된다. 부산 가덕도와 거제도를 잇는, 그리고 중간에 세계에서 ...
    Date2012.08.14 By최유진 Views1010
    Read More
  2. 다시 겨울 속으로

    2011년 2월 26 ~ 27일, 1박 2일 용평스키장. 마지막 겨울 여행 마무리. 지난 주 가려다 옮겼는데 토요일 날씨는 그야말로 바람 한점, 구름 한점 없이 ...
    Date2011.02.27 By최유진 Views1009
    Read More
  3. 겨울 왕국

    영동 지방에 폭설이 내렸다. 여러 날 계속, 고립되고 눈사태에다 피해를 입고 큰 일이다. 1월까지는 평년보다 눈도 없고 덜 춥다고 느껴 와서 다행이었...
    Date2014.02.18 By최유진 Views1006
    Read More
  4. 지리산 둘레길 여행: 둘레길 3코스

    5월 29일 (일). 날씨는 어제와 달리 걷는데 부담스러울 지경이다. 숲길은 괜찮지만 그늘 없는 포장길이 많이 있는데 더울 것 같다. 그래도 사진 찍으면...
    Date2011.06.03 By최유진 Views1006
    Read More
  5. 문경 (석탄박물관)

    2015년 1월 산악회 신년 모임은 문경에서. 1박 후 이튿날 문경새재 3관문까지 걷기 첫날은 가족끼리 문경석탄박물관, 가은셋트장 (KBS 사극 드라마) 구...
    Date2015.01.19 By최유진 Views1004
    Read More
  6. 속초 여행: 설악산

    설악산 권금성 케이블카 타고 신흥사 둘러 보기로 했다. CD동에 있는 한식당 옆 공간으로 바깥 전경을 보러 나갈 수 있는 베란다가 있던데 둘째 날부터...
    Date2014.01.16 By최유진 Views999
    Read More
  7. 쏠비치 여행 5: 여행 마무리

    10월 3일 일요일) 아침에는 비가 개었다. 첫날은 맑다가 점차 구름이 있었지만 둘째 날은 잔뜩 흐리고 오후 부터는 비도 좀 내리고, 집으로 돌아 오는 ...
    Date2010.10.11 By최유진 Views999
    Read More
  8. 후키다시 공원, 닛카위스키 공장

    니세코에서 남쪽 방향으로 달려 도야호수, 쇼와신잔 본 후 다시 윗쪽 니셰코 쪽 후키다시코엔으로 이동한다. 북해도 자연 풍경은 한국이나 다른 곳들과...
    Date2016.08.11 By최유진 Views993
    Read More
  9. 북촌 한옥마을 3

    남편이 담은 한옥마을 컷들, 그리고 피맛골 음식점 중 '수하동'에서 곰탕으로 점심 개발되기 전 종로구청 근처와 피맛골 등 음식점 동네 사진들이 있다...
    Date2014.06.12 By최유진 Views985
    Read More
  10. 단양 여행 3: 단양 8경 훑어보기

    사진: 단양 8경 중 하나인 사인암. 보슬비 맞고 고생한 구인사 코스를 뒤로 하고 단양 8경 중 하나인 선암계곡 쪽을 둘러 보러 간다. 사인암이 경치가 ...
    Date2010.03.30 By최유진 Views982
    Read More
  11. 돗토리 여행 중 식사

    돗토리 3일 여행 중 일본 식사 일본 식사는 양도 양이지만, 정말 단무지 한톨 안 남기고 다 먹었다. 빈티나게... 이렇게 혼자 홈피에 테러하고 있으면,...
    Date2015.01.20 By최유진 Views979
    Read More
  12. 제주도 여행 2일 째: 산방굴사

    6월 6일 일요일 산방식당에서 밀면과 수육을 먹은 후 산방산으로 이동, 산방굴사까지 올라 갔다. 매표소에서 산방굴사까지는 15분 거리라고 했으나 더...
    Date2010.06.11 By최유진 Views9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