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3. 18 (토)

인천 개항장거리 관광

 

230318-1.jpg

조계지계단 아래, 대불호텔 근처에 주차해 놓고 투어 시작

 

 

 

230318-2.jpg

탕후루 만들기 위한 재료로 사탕수수 껍질

 

 

 

230318-3.jpg

음식점 공화춘. 옛날 공화춘은 문을 닫았고, 이후에 다른 공화춘이 음식점 성업.

소스 없는 간짜장 식의 해물 짜장을 몇년 전 먹어 봤었다.  그때 비쌌는데 더 비싸졌을 거고 줄은 어마어마하다

남편 단골이었던 '자금성'은 문 닫은지 오래

 

 

 

 

230318-4.jpg

이 곳이 예전 공화춘 건물. 짜장면박물관으로 변신.

근처 박물관 5곳 묶어서 입장료 3400원 지불. 한중문화관은 몇년 전 관람했었는데 거기 skip하려면 갈 곳만 구매하는 것이 좋았을터인데 생각못했다.

https://ijcf.or.kr/load.asp?subPage=522.05

짜장면박물관은 입장료 1000원. 

 

공화춘의 전신은 산동회관, 중국인 전용주거지인 청국 조계지에서 음식점과 호텔의 혼합형 숙식업소로 시작.  1911년 산동성 출신 화교 우희광이 지금 위치로 이전 개업했다가 1912년 중화민국 수립을 기념하여 '공화국의 봄'이라는 의미의 공화춘으로 개명하였슴. 일제강점기 이후 인천 서울의 상류층들이 이용하는 경인지역 최고급 요리점으로 70여년간 명성을 이어왔고 6.25 전쟁 이후에 짜장면 등 대중음식을 보급하였다.  화강암 석축 위에 벽돌을 쌓아 올린 2층 벽돌조 건물로 화교의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연안부두 신축으로 인천역 일대 상가가 쇠락하면서 1983년 영업을 중단하였고 2012년부터 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230318-5.jpg

공화춘현판.  제작연대가 1950년대 이전으로 추정됨.  위 '공화춘', 아래 왼쪽 '포판회석' (연회석완비), 아래 오른쪽 '특등요리'

 

 

 

 

 

230318-6.jpg

초기 청관 거리

 

 

 

230318-7.jpg

화교들의 생계수단 3자루의 칼.  육도 채도, 전도, 체도

 

 

 

230318-8.jpg

짜장면을 먹는 노동자.  1890년대를 전후하여 인천 부둣가는 외국과의 무역이 한창이었고 배에서 내리고 싣는 물건을 나르기 위해 고용된 수많은 짐꾼과 인력거꾼이 필요하였는데 대부분 산둥지방 출신 노동자인 '쿨리'였다.  이들은 별다른 재료없이 춘장에 수타면을 비벼, 즉석에서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고향 메뉴인 짜장면을 먹었는데 이들을 상대로 손수레 노점상이 하나 둘 생기면서 '짜장면'의 보급이 시작되었다.

 

 

 

230318-9.jpg

제2전시실.  1930년대 공화춘과 짜장면

문득, 한참 일제의 악랄함이 강화되던 시기..  독립운동가들은 피폐한 삶을 살았을 터인데..  이때 우리 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어떤 삶을 살았을까. 독립은 너무나 요원하고 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일찌감치 포기하며 살았을 것이다.  짜장면을 먹을 수 있는 사람들은 상류층이었을 것이며.  아이러니..  

 

 

 

230318-10.jpg

제3전시실 짜장면의 전성기 1970년대.  졸업식 후 최고의 외식메뉴 짜장면

 

 

 

230318-11.jpg

사자표춘장.. 저런 게 있었나

 

 

 

230318-12.jpg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입학하고 동문회 모임 때 짜장면 집에서 모였는데..  1000원 정도였겠다.  으~ 나 너무 옛날 사람

요즘 짜장면은 7,8천원까지 하는데....

 

 

 

230318-13.jpg

초기에 나무로 된 가방.  무겁고 음식 묻으면 비위생적.  플라스틱 시대도 있었고, 이후 우리가 아는 '철가방' 알루미늄판과 함석판 등 싼 재료 등장.

지난 반세기 한국인의 일상을 대표할 수 있는 생활속 디자인 가운데 하나로 중국음식점의 '철가방'이 선정되었다. (모나미 153볼펜, 신라면, 칠성사이다, 포니자동차, 시발택시...).  알루미늄 색상이 밝고 깨끗하고 단순하면서도 구조적인 기능이 뛰어났다.  쉽게 열리지 않는 뚜껑, 음식물을 쉽게 닦을 수 있는 편의성, 찌그러져도 원상복구가 쉬운 친근한 가변성.  후세에 물려 줄 우리 시대의 생활문화유산.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밝혀지지 않았다니 @@

 

 

 

 

230318-14.jpg

수타주방

 

 

 

230318-15.jpg

반죽이 얼마나 무거웠을까...

 

 

==========================

 

230318-16.jpg

한중원.  한중문화교류 활성화 및 관광객 휴식을 위해 중국 4대 정원 중 졸정원과 유원의 시설양식을 주제로 조성한 쉼터.  중국 전통 수목인 대나무, 장미, 모란 등을 식재하여 중국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함

 

 

 

230318-17.jpg

230318-18.jpg

해안성당.  1960년 당시, 이곳 차이나타운에는 4천여면의 중국 화교가 거주하고 있었고, 소수의 화교 가톨릭 신자들은 답동 성당을 다니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중국 화교 신자들의 언어 소통과 민족 이질감으로 화교들을 위한 성당을 절실히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미국 메리놀회에서 1960년 7월 화교를 위한 선린성당을 설립하고 중국 만주에서 사목 경험이 있고 중국어에 능통한 고요셉 신부를 초대 신부로 임명하게 된다.  현재 성당 건물은 초대 신부의 노력으로 1966년 6월에 완공된 건물이다.  설립 초기에 중국 화교를 위한 성당이었으나 고요셉 신부가 귀국하고 중국 화교 신자가 감소하며 한국인 신자 수 증가로 한국인 성당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72년 10월 해안성당으로 명칭을 바꾸고 한중 합동 본당으로 운영되었고 화교 신자는 감소하여 한국인 성당이 되었다.  근처 제물진두 순교성지 (이승훈 베드로의 후손들과 박순집 베드로의 외가집안이 치명한 순교터로서 신앙을 위해 목숨을 내놓은 10명의 순교자들을 기리는 곳)가 있다.  

 

230318-19.jpg

중구 지역 개항장 거리 볼 곳들

 

 

230318-20.jpg

 

?

  1. 자드락길 6코스 (괴곡성벽길)

    이틀째는 트레킹. 자드락길 중 괴곡성벽길 (6코스) 몇년 전 갔던, 정방사 쪽 길은 간단하고, 이 6코스도 많이 가는 것 같다. http://tour.okjc.net/tou...
    Date2015.08.30 By최유진 Views747
    Read More
  2. 일본 여행, 수고하신 분들..

    (사진 -- Nextour의 선우 진 과장님... 편안한 인상, 5살짜리 애 엄마로서, 같이 다니면 시종일관 넘 재밌고 웃음 소리가 지금도 들리는 듯하다..) 먼...
    Date2006.03.20 By최유진 Views1321
    Read More
  3. 일본 돗토리 여행 1일: 인천 출...

    2014. 12. 26 ~ 12. 28 (금토일) 동창들과 일본 돗토리로, 하나투어 패키지 상품 여행 다녀 왔다. 백만년 만에 처음으로 시간 맞춰 뭉쳤다. 6명 중 5명...
    Date2015.01.22 By최유진 Views1089
    Read More
  4. 인천, 송도: 한국이민사박물관

    인천 월미도 쪽에 있는 한국이민사박물관. 2008년에 문을 열어서 시설도 깨끗하고 역사 등 배울 내용이 많다. 인천, 군산, 그리고 부산 등은 개항기 근...
    Date2014.08.27 By최유진 Views1168
    Read More
  5. 인천, 송도: 인천상륙작전기념관

    맥아더 장군이 이끌었던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입장료 무료 http://www.landing915.com/ http://www.landing915.com/htmls/incheon01.htm 인천상륙작전...
    Date2014.08.28 By최유진 Views1201
    Read More
  6. 인천 자장면 대축제

    인천역 공화춘에서 자장면이 탄생한 지 100주년을 맞아 '사람구경'이나 하러 나간 인천 나들이.. 정말, 사람구경 실컷했다. 애들이 시야에서 사라질까...
    Date2005.10.10 By최유진 Views1332
    Read More
  7. 인천 아트플랫폼 & 한중문화관

    http://www.inartplatform.kr/ (사이트 발췌 글) 인천아트플랫폼 (舊 중구미술문화공간)은 인천광역시가 구도심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중구 해안동의 개...
    Date2014.09.16 By최유진 Views1290
    Read More
  8. 인천 개항장거리 투어: 짜장면박...

    2023. 03. 18 (토) 인천 개항장거리 관광 조계지계단 아래, 대불호텔 근처에 주차해 놓고 투어 시작 탕후루 만들기 위한 재료로 사탕수수 껍질 음식점 ...
    Date2023.03.19 By최유진 Views96
    Read More
  9. 이틀 째... 동학사 둘러 보기..

    이튿날은, 하늘은 구름 한 점 없이 청명한데 상당히 쌀쌀한 날씨였다. 아이들 돕바를 가져 올 까 하다가 한밤 중에 나갈 거 아님 쓸 일이 없을 거 같더...
    Date2006.04.21 By최유진 Views1533
    Read More
  10. 이충무공 묘소

    현충사를 가려다가 날씨도 쌀쌀하고, 봄의 (충무공 후손) 해설사 선생님이 안 나오시는 날이라, 이충무공 묘로 갔다. 이쪽으로 가는 진입로 드라이브길...
    Date2015.11.07 By최유진 Views578
    Read More
  11. 이순신 공원 & 달아공원

    이순신공원: 이순신공원(구, 한산대첩기념공원)은 통영시의 대표적인 성지로, 1592년 8월 14일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이 해상주도권을 다툰 해전에서 ...
    Date2016.03.03 By최유진 Views567
    Read More
  12. 이곳의 아침이 그립다.

    귀경하기전 짐들을 다 싸놓고 나가려던 찰라... 하늘에서 갑자기 소나기 쏟아지기에 2층으로 올라가서 모두 넋을 읽고 비오는 소릴 들으며 비오는 모습...
    Date2004.09.16 By Views19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8 Next
/ 5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